-
-
엘리어트 파동이론 - 기술적 분석의 시작과 끝 ㅣ 월가의 영웅들 2
랠프 넬슨 엘리어트 지음, 김태훈 옮김 / 페이지2(page2) / 2022년 9월
평점 :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폭넓은 연구는 사회 경제적 장치를 통해 여과된 모든 내용이 하나의 법칙을 따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법칙은 비슷하게 되풀이되는 인간의 활동을 일정한 수와 패턴을 지닌 파동이나 충격으로 이어지도록 만든다. 파동이나 충격의 세기 intensity 는 서로 간에 일관된 상관관계를 지니거나, 시간 경과에 따라 일관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더 깊게 이해하려면 인간의 활동 분야에서 몇 가지 사례를 가져와야 한다. (-15-)
삼각형 패턴의 크기는 대부분 상당히 작으며, 모든 파동이 세밀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1937년 10월부터 1938년 2월 사이에 최초로 5개 파동이 모두 3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을 만큼 큰 규모의 삼각형이 나왔다. 또한 5개의 파동은 각각 다른 패턴을 형성했다. (-61-)
비정상적인 조정 파동까지 알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
조정파동은 파동이론에서 해석하기 가장 까다로우 속성을 지녔다. 때로 시장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망하려면 조정 파동의 세부 구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120-)
우주가 법칙에 지배된다는 것만큼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진실은 없다. 법칙이 없다면 혼돈이 발생하고, 혼돈 속에서는 그 어떤 것도 존재할 수 없다.항해술, 화학, 항공술, 건축술, 무선 통신,의술, 음악 등 예술과 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생물과 무생물을 다룰 때에도 자연의 법칙은 그대로 적용된다. (-179-)
인프레이션은 '자연스럽게 한계를 넘어서는 확장' 이라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다. 하나의 강세장으로는 '자연스럽게 한계'를 넘지 못한다. 연속된 강세장이 다른 강세장을 제치고 '자연스러운 한계를 넘어선다',비정상적인 약세장이 개입하지 않으면 하나의 강세장은 '다른 강세장'을 넘지 못한다. (-242-)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 삼각형의 빗변 제곱의 값이 다른 두 변을 각각 제곱하여 더한 값과 같음을 설명한다.이 해법의 발견은 피타고라스의 연구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제 1부터 144까지 피보나치수열로 돌아가 보면 이 숫자들은 피타고라스가 말한 우주의 비밀을 구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91-
다음은 엘리어트가 1934년 12월 9일에 콜린스에게 보낸 2번째 편지이다.이 편지는 파동이론을 간결하면서도 빈틈없이 소개한다. 거기에는 머리글도 포함되어 있다. 엘리어트는 이 머릿글을 통해 처음으로 다른 사람에게 주식시장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설명한다.
"시장은 가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즉, 일정한 폭을 지닌 분명한 경계가 있습니다.이 경계는 때로 장애물에 막히기도 하고,갑자기 장애물을 벗어나기도 합니다.강폭이 좁으면 속도가 발라지고, 넓으면 느려집니다. 강은 흘러가다가 막히면 휘어지기도 합니다." (-348-)
제시 리버모어의 『투자의 원칙 』과 함께 주식투자의 고전이 되어버린 랠프 넬슨 엘리어트의 『엘리어트 파동이론 』 이다. 엘리어트는 1871년에 태어나 1948년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가 주식 투자에 관심 가지게 된 배경은 그의 직업이 회계사이기 때문이다. 주식 투자의 원칙을 자연의 원칙에 근거하여 계산하였으며, 그는 소크라테스의 법칙 속에 감춰진 비보나치 수열의 본질을 주식 투자 안에 숨어있는 파동이론의 창시자가 되었으며, 주식 투자의 기술적 분석의 시작과 끝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엘리어트가 살았던 시기에는 1920년대 말 대공황이 있었던 시기였다. 주식이 폭락하는 장세에서,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 금액을 잃어버리고 시장에서 벌어지게 된다. 그러나 엘리어트가 만들어낸 파동이론에 근거하여, 주식 시장의 흐름을 분석했더니, 주식의 흐름들이 거의 맞아떨어지게 된다. 공교롭게도 엘리어트의 파동이론은 그가 살아생전에 써먹지 못했던 주식 투자 이론이며, 그 패턴이 주식 투자에 있어서 이익,기회가 될거라고 생각했던 엘리어트의 측근밖에 알지 못하였다.그 대표적인 사람이 콜린스였다.
그러나 1987년 10월 19일 미국에서 발생한 블랙먼데이,주가 폭락. 그것이 엘리어트 파동이론이 널리 알려진 계기였다. 구소련과 미국간의 냉전 상태 속에서, 주식이 갑자기 폭락하던 와중에,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근거하여, 주식의 변동의 흐름을 예측한 바 있었다. 즉 남들이 예스라고 할 때, 누군가 노를 외친다면,그의 벌언에 관심 가지지 않게 된다. 헛소리라고 치부하기 일쑤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그의 예측이 옳았다는 것이 검증될때,그가 한 말의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관심가지게 된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이 그가 사망한 이후 얼려지게 된 이유였으며, 다섯차례의 주식의 변동 속에서 시장의 흐름에 따라가는 주식의 흐름, 주식 시장에 역행하는 주식의 흐름을 꽤뚫게 되었으며,그것이 한번이 아닌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여러번의 데이터에 근거하여,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즉 주식 투자에 있어서, 최고점이 시작되는 그 시점과 최저점이 되는 그 시점 사이에 발생하는 하락과 상승, 진동과 파동에 근겅하여, 주식의 투자 스킬을 배울 수 있으며, 그에 맞춰서 주식 투자를 하는 투자자는 큰 손실을 피할 수 있고,주식 상승세에 올라탈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게 된다.
페이지2북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