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바일 미래보고서 2023 - 리인벤트, 팬데믹 이후 혼돈의 시장을 ‘재창조’하는 7가지 빅테크 트렌드
현경민 외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이를 통해 키워드를 중심으로 초고속, 초연결, 초경험,초공유, 초감각, 초지능 등 6가지의 보조 키워드를 더하여 트렌드를 예측했다.
펜데믹으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2021년은 '온택트' 를 키워드로 선ㅁ정했다. (-13-)
대표적인 메타커머스 부동산 기업으로 미국의 디센트럴랜드, 업랜드가 있다. 또 캐나다의 가상부동산 신탁회사인 메타버스 그룹은 2021년 11월 디센트럴랜드가 보유한 250만 달러 (약 32ㄴ억 7,500만 원) 규모의 가상 부동산을 매입했고 2022년에는 해당 부동산에 빌딩을 세워 유명 브랜드에 맞춰 광고 및 임차를 추진하고 있다. 현실 세계의 부동산 개발 신탁회사와 대상이 다를 뿐 사업형태는 비슷한 모습이다. (-47-)
빅테크들의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메타버스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작업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통해 인상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 가는 이유는 클라우드 기술의 안정성이라는 핵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148-)
다시금 다가올 이동의 시간에 대비해 카카오모빌리티,티맵 모빌리티, 쏘카, 우버 등이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부터 현대자동차, 기아, 테슬라, 토요타와 같은 완성차 제조사, 모빌리티 밸류 체인 곳곳의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기업이 이동의 경험을 촘촘하게 재창조하고 있다. 재창조된 미래 이동경험으로의 진화는 현실이 되고 있다. (-228-)
테슬라에도 전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테슬라가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배터리 기술, 칩 설계 능력 등의 역량을 쌓은 만큼 2021년에 발표한 인간형 로봇 테슬라봇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는 한층 커지고 있다. (-296-)
리오랩스는 지구 저궤도 상공에 있는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이 기업은 저궤도상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독자적인 레이더 기술을 가지고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위성충돌 방지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 국방부와 우주 관련 국제기구들과도 협력하고 있다. 특히 지구 주변의 우주를 떠돌고 있는 약 4.5센티미터 크기의 너트와 볼트를 비롯해 25만 개의 잔해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스페이스 X도 스타링크 위성 운용을 위해 리오랩스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358-)
서비스는 돈이 된다. 제품이나 상품도 돈이 될 수 있다. 문제는 투자대비 수익이다. 기업이 투자를 한다는 것은 시장을 고려하고,기술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가정하에 출발한다. 기업이 어떤 투자를 하고 싶어도,기술을 개발하고 싶어도, 투자 이후 수익을 만들수 있는 여건을 고려할 때, 그 서비스는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수많은 기술과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혁신의 아이콘이 될 수 있는 제품으로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자동차를 꼽는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 대다수의 제품은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다면, 무엇을 먼저 우선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우선 미지의 세계를 개발하기 위해서, 모바일 생테계를 이해하는 것이 먼저다. 메타 버스와 의료 원격진료 서비스가 수익이 가능하고, 자본을 모으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것도 여기에 있다. 책에서 ,눈여겨 볼 것은 메타버스의 시장가치에 있다. 선도적으로 기업은 메타버스를 다양하게 쓰고 있다. 하나의 건물 전체에 메타버스 시험장으로 바꿔 나간다면, 그것이 출발점이 되며, 또다른 영역이나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게임에 머물러 있는 메타버스가 부동산 산업에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이유는 소비자의 구매만족도를 수용하기 때문이다. 즉 메타버스가 옴니채널로서,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고, 온라인 공간에서, 부동산을 보는 것과 실제 현장에서 보는 부동산의 과거와 현재,미래를 메타버스로 구현한다면, 신성장 사업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메타버스 기술은 옴니채널의 미래이다.
그리고 원격의료진료 영역으로 확장을 눈여겨 볼 수 있으며, 애플워치, 갤럭시워치와 같은 인간의 신체 내부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고, 수단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볕원에 갈 수 없는 환자들은 원격치료를 통해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높여나갈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염려가 커져가고 있으며,새로운 가치를 만들기 위한 제품 혹은 서비스를 하나하나 만들어 나간다. 그리고 어떤 산업 인프라가 구축될 때, 그 서비스와 제품은 대중성을 얻게 된다. 초창기 텔레비전, 세탁기, 자전거,냉장고는 소수의 부자들이 소유하였고, 서서히 시장을 확장할 수 있었던 것을 볼 때, 현재 대중화된 어떤 제품을 확장할 수 있다면,그것이 사업의 변화로 이어지며, 서비스와 제품을 연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