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장 마음이 편해지는 반야심경의 말
우뤄치안 지음, 이서연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과 같아라.

나뭇잎은바람을 믿기에 자유롭게 날아다니고 언제든 내려앉을 수 있다.

나뭇가지에 앉은 작은 새와 같아라.

작은 새는 나뭇가지를 조건 없이 신뢰하기 때문에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고, 주저함 없이 날아오를 수 있다. (-14-)

말과 생각이 일치하면 몸과 마음이 자유로워진다! (-33-)

자비는 가장 고귀한 지혜이자 가장 깊고 넓은 사랑이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자비로 대하고

지혜를 사용해 사랑과 원망을 내려놓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것은

번뇌에서 벗어나는 불이법문이다. (-80-)

가장 높은 경지의 자유는 인연을 철저하게 따르는 것이다. 모든 순간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즉시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이 진정한 자유다. (-157-)

'나는 한 편의 구름처럼 구속 없이 오고 간다.'

이것은 감정이 인연에 따라 생겨나고 사라지든, 육체가 생로병사에 시달리든 상관없이 구속받지 않는 태도다.

하지만 자유로워지려 집착해서는 안 된다. 수행으로 어떤 경지에 이르길 바라거나 구속없는 상태로 도달하길 바라는 것도 욕망인 만큼 일종의 구속이다. (-240-)

내면에서 부터 자신이 누구이고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사랑과 신념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된다면

다른 사람이 어떻게 부르고 평가하는지는 중요하지 않게 된다. (-305-)

만약 '돈이 모든 걸 해결래주지는 못한다' 를 가치관으로 삼는다면 직업이나 배우자를 선택할 때 돈보다 내면의 기쁨과 즐거움을 기준으로 삼을 거다.

반대로 '돈이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 를 가치관으로 삼는다면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 다른 것들을 약간 희생할 각오를 해야 한다. 매일 밤 쉼없이 야근하는 생활에 원망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건강, 감정, 가족관계, 심지어 도덕과 양심까지 잃지 않도록 어디까지 희생할지 마지노선을 정해야 한다. (-342-)

지혜를 얻기 위해서, 반야심겨의 깊은 깨우침을 얻는다. 인간이 지헤를 원하는 건, 언젠가 큰 후회,뼈져린 어리석음과 마주했기 때문이다. 불합리하고, 억울하고, 때로는 부조리한 상황에 대해서 타협해야 할 때,수치심과 절망을 느끼게 되며, 나의 판단과 나의 선택이 나의 의지에 반할 때가 있다. 그래서,인간에게 지혜는 절대적이다.

사람은 지혜와 지식을 혼용할 때가 많다. 지식이 많다 해서,지혜로운 건 아니며, 지혜가 많다 해서, 지식이 많은 건 아니다. 반야심경에서, 삶에서, 인연을 철두철미하게 지키고, 삶의 자유로움을 유지해야 한다는 말은, 죽음에서, 나의 자아와 스스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것과 비스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면서, 죽음을 준비하지 않기 때문에 지혜롭지 못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저명한 인사, 유명한 스포츠 선수가 지혜롭지 못함으로, 쌓아온 노력과 성과가 한순간에 무너질 때가 있다. 그래서 지혜라는 것을 쌓는 건, 평새에 걸쳐 행해져야 하며, 어렵다.

지헤의 바탕에는 믿음과 신뢰, 낮춤이 있어야 한다, 어떤 자리에 연연하지 않으며, 자신의 위치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것, 어떤 상황에 처해진다 하더라도 당황하지 말것, 그것이 반야심경에게 나에게 알려주는 깊은 깨우침 그 자체이다. 육체적인 자유로움이 진정한 자유가 된다. 최근 포항에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죽은 이들이 다수 발생하였다. 여기서 내가 그들의 입장에 놓여진다면, 나는 절대적인 육체적인 자유로움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인가 성찰해 보았다. 누구나 냉정한 자유를 꿈꾸지만, 삶에 대한 자유를 그 누구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가 가지 위에 올라 설 수 있는 것처럼, 삶에 대해 자유로움, 돈에 대한 자유가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스스로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해서, 생각과 마음이 일치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리고,그러한 삶이 마음 가는데로 살아갈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할 수 있고,진정한 평화와 행복을 얻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