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내려놓는 용기 - 현직 초등 교사가 교실에서 발견한 자기 주도적인 아이들의 조건
박진아 지음 / 월요일의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754-1.jpg


0754-2.jpg


0754-3.jpg


0754-4.jpg


0754-5.jpg


어떤 아이는 쉬는 시간에 무엇을 할지 몰라 친구들만 지켜보다 그 시간을 끝내기도 합니다. 결정권을 가지고 선택한 경험이 적기 때문에 사소한 문제라도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합니다. 이런 아이들은 자신의 선택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타인에게 결정을 미루려고 합니다. 자신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자기 표현이 부족하고 자존감이 낮습니다. (-21-)

아이를 믿지 못하는 엄마는 아잉의 일거수일투족을 캐묻고 간섭합니다. 자신의 불안을 견디지 못해서입니다. 엄마가 해주는 것이 속 편하고 빠르거든요. 아이를 진정으로 위한다면 엄마의 불안을 해소하디 위한 개입은 멈추어야 합니다. 아이가 본인의 성장 속도에 맞추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믿고 기다려주어야 해요. (-77-)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데는 이유가 없습니다. 존재 자체만으로 소중하고 존중받아야 합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 존중받고 있음을 느껴야 해요.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받는 존재이지 어떤 행동을 해서 사랑받는 것이 아님을 아이 스스로 깨달아야 합니다. (-143-)

몰입의 경험으로 높아진 자존감과 성취감은 시야를 넓혀주고 사고를 확장해줍니다. 몰입을 통해 아이의 역량을 키우고 다른 분야로 관심을 옮겨갈 수도 있어요. (-187-)

초등학교 입학 전 시기는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자존감과 자립심이 자라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이때는 과도한 학습을 하는 것보다 아이가 다양한 경험을 하고 마음껏 놀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합니다. 지나친 조기교육과 과도한 한국 교육으로 아이를 몰아세우지 말아주세요. 책을 혼자서 읽는 시기, 글자를 배우는 시기는 아이가 배우고 싶어 할 때가 적기입니다. (-222-)

무엇보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아야 합니다.아이의 친구, 이웃의 아이, 형제자매라도 비교하지 말아주세요. 아이는 저마다의 재능이 있고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이에게 없는 것을 아이에게서 찾으려고 하면 상처가 될 뿐입니다. 세계적인 기업 제너럴 일렉트릭 GE 의 CEO 였던 잭 웰치는 심하게 말을 더듬어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았습니다. (-258-)

엄마의 말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잇습니다.대화할 때 아이와 눈높이를 맞추고 눈을 맞추는 것, 온화한 표정과 따스한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는 것.아이는 단순히 엄마의 말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요소를 통해 엄마의 애정과 관심을 몸으로 느낍니다. 긍정 대화, 공감 대화는 명령이나 지시적 언어보다 더 강력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올바르고 책임 있는 선택을 하게 합니다. 엄마와 아이가 건강한 관계를 맺고 마음을 여는 소통을 하게 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립심이 자라게 합니다. (-263-)

아이들에게 엄마는 처음 보는 최초의 선생님이다. 가정 교육이 한 사람의 전 인생 라이프에서, 부모는 최초의 경험이면서, 인생의 가치관 형서에 있어서 기본 골격이 되고 있다. 어떤 경험의 초두 효과도 가정교육이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 위축될 수도 있고, 비교 당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자신이 갑짝스러운 상황에 대처할 때,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때도 있다. 나의 어린 시절의 공포와 두려움, 불안과 트라우마는 전 생애에 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엄마의 교육에 대한 욕심이 아이의 수준을 낮줄 수 있고, 잠재능력을 높여나갈 수 있다. 자존감을 키우고, 자기 긍정, 자기 효능감을 키우는 것이 , 자기주도적인 아이들을 위한 조건이며, 현직 초등 교사가 교실에서 발견하면서, 얻어내 교육 스타일이다. 조기 교육이 아닌 적기 교육에 충실하며며, 아이들이 공부할 시점과 놀 수 있는 시점을 명확하게 구분지을 수 있어야 한다. 아이와 아이를 비교한다면, 교육의 효용가치를 납춰 나갈 수 있으며, 완벽한 교육이 아닌,아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고, 판단할 수 있는 몰입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기적인 무모 밑에 이기적인 안이가 된다. 즉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아이가 자기 주도적인 아이가 될 수 있으며,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사회가 요구하는 리더가 될 수 있다. 특별한 교육보다, 인생에 도움이 되는 지속적인 교육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리뷰어스배너.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