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버스의 미래, 초실감 기술 - 오감 만족 XR 기술이 펼치는 새로운 세상
우탁.전석희.강형엽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2년 7월
평점 :





가상현실 기술의 발다에 따른 시청각적인 현실감도 중요하지만, 메타버스는 지금까지 게임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현실적인 그래픽과 입체음향 등을 통한 '즉각적인 몰입(Immersion)'을 넘어서야 한다. 현실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가상세계(거울세계)에서 다른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재감을 느껴야 하는 것이다. (-39-)
특히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은 메타버스라는 자유로운 가상공간에서 윤리와 도덕성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세대만이 아닌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가상세계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물론 2세대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도 완벽한 통제와 제어를 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1세대로부터 얻은 학습효과 덕분에 메타버스 세계의 자유에 대한 개념도 현실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96-)
가상현실용 몰입형 촉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일이다. 이것은 인간이 촉감을 인지하는 특성에 기인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 촉감에 관련된 물리적인 신호들을 다른 감각들과 비교해 종류가 대단히 많다. 촉감으로 힘도 느껴야 하고, 온도도 느껴야 하며, 진동도 느껴야 한다. (-173-)
데이터 기반 햅틱 렌더링 방법도 한계가 있다. 가장 큰 단점 중 하나가 실제 존재하는 물체에 대한 렌더링 밖에 재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상상의 물체, 혹은 현재 접근하기 힘든 물체에 대한 렌더링이 필요하다면 데이터 기반 방법혼은 사용하지 못한다. (-227-)
지금 우리 앞에 놓여진 현실은 오감에 의존한다. 시각, 촉각, 미각, 청각, 후각이 있으며, 여섯번째 감각 , 직감이 포함되고 있다. 이 여섯가지 감각 중에서, 시각과 청각은 메타기술이 두각을 드러내기 이전의 컴퓨터 공학에 의해서, 현실세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실사에 거의 가까운 형태로 완전하게 구현되고 있다. 메타버스 기술은 현실을 가상으로 옮겨놓는데 있으며, 실세계를 반영하는 것을 궁극적으로 한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세계의 몰입형 플랫폼으로서, 시각과 촉각을 제외한, 미각과 후각, 촉각은 메타버스 기술로 여전히 쉽지 않다.그래서 ,메타 기술의 미래 산업의 핵심 산업이자, 가치라고 할 수 있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혼합된 혼합현실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책에는 바로 그런 메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으며, 페이스북 , 제페토로 기억되는 게임 형태의 아이템 메타버스 기술의 미래의 트렌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단순화된 메타버스 기술 뿐만 아니라 , 메타버스 기술이 앞으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면밀하게 검토해야 할 여지가 충분하다. 즉 메타기술이 우리 삶에 있어서, 실생활에 반영되기 위해서, 몰입형 플랫폼으로 완전해지려면, VRChat(2017) 이 가지고 있는 VR 기반 멀티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을 이해하고, 고부가가치로 인식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해한다면,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와 사업의 특별화가 점진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