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는 나의 힘 ㅣ 명주 어린이 미래 시리즈
임충열 지음, 김옥희 그림 / 명주 / 2022년 6월
평점 :
![0696-1.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a719c17239c84868adb747cd13adc7c9.jpg)
![0696-2.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446768abf5de49b8b7cf3f47ae05ae15.jpg)
![0696-3.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c23c8d645c37437c95c0cd9b62417863.jpg)
![0696-4.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4288326d28f948b4a4fd8067a1628ed4.jpg)
![0696-5.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d9a2cfa840ee4fe4816fce042b42f394.jpg)
![0696-6.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6489a1cd114a4356aedaf499f3c0db67.jpg)
![0696-7.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a7d075ccdfd94c04879df48811e18fa0.jpg)
![0696-8.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22/c1ad7679347f4ff6817a9db8fe400b78.jpg)
게리 카스파로프와 딥 블루
게리 카스파로프는 러시아 프로 체스 선수로, 1985년부터 2000년까지 16년이나 체스 세계 챔피언 자리를 놓치지 않았던 체스계의 거장이다.
컴퓨터 개발 업계 IBM 에서는 카스파로프가 세계 챔피언에 등극할 즈음 세계 챔피언을 이길 수 있는 체스 인공지능을 ㅂ만들겠다는 목표로 연구를 시작했다.
IBM 에서는 1989년 딥 소트(Deep Thought)라는 모델을 내놓고 카스파로프에게 도전했지만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딥 소트라는 명칭은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에 나오는 거대 컴퓨터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1996년에는 딥소트를 개량한 딥 블루(Deep Blue) 로 카스파로프에게 다시 도전하였고, 6경기 중 첫 경기에서 승리하였지만 1승 5패로 카스파로프에게 패배하였다.
1997년에는 딥블루와 카스파로프의 2차전이 열렸고, 딥 블루는 카스파로프를 상대로 6경기를 치뤄 2승 3무 1패로 승리함으로써 공식 경기에서 세계 챔피언을 이긴 최초의 인공지능이 되었다. (-17-)
리걸 테크는 '법(Legal)'과 '기술( Tech)'을 접목한 말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법률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및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최근 인공지능과 변호사가 법률자문 대결을 펼쳤다. '알파로(alphalaw) 경진대회'에서 변호사와 인공지능으로 구성된 혼합 팀이 인간 변호사 팀에 승리함으로써 법률 해석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가능성은 입증됐다., 앞으로 인공지능은 변호사 업무를 시작으로 법관 역할까지 지원 범위가 넓어질 것이다. 이렇게 되면 법률 서비스의 문턱과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될 것이다. (-55-)
우리 주위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인공지능이 나열되고 있다. 틱톡, 스노우 등의 앱, 알렉사, 기가지니 등 음성인공지능 비서, 자유주행 자동차 '웨이모',자율주행의 핵심 기술 라이다 센서와 레이더, 헬스케어, 인공지능 교육,스마트홈, 스마트 그리드, 게임,스마트 공장, 스마트 공장, 스마트 쇼핑, 범죄예방, 챗봇, 스마트 농장, 인간의 친구 ,인공지능법률 인공지능, 인공지능 주방, 음악 창작, 인공지능 반려동물이 있으며, 이 19가지는 인공지능이 적용된 사례였다.
인공지능 열아홉개 사례는 인간이 해오던 일을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인간의 지능이 아닌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지적인 능력은 현재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기준과 원칙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즐길 수 있다는 말이 되고 있다. 사람이 없어도 무인으로 관리되고, 조절이 가능하며, 인간이 해오던 일을 대체할 수 있다. 여기에 또다른 문제점이 있었으니,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잘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이 하면, 오류가 발생하거나 실수가 나타나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그런 오차와 오률르 최대한 줄여나갈 수 있으며, 인공지능은 어떤 문제가 복잡해질 수록, 일이 많아질수록 그 효율성은 커지게 된다. 과거 조판활자에 의해서, 책을 한 권한 권 만들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인공지능은 책 한권 만드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고 쉽게 스캔이 가능하다. 단순히 인공지능에 의해서, 체스 대결, 바둑대결을 하는 것을 넘어서서, 인간이 할 수 없는 일들은 인공지능이 직접해결할 수 있는 사회가 나타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검사나 판사, 변호사에 의존하지 않고, 인공지능에 의존하여,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간이 평생 살아가면서, 느꼈던 불합리성과 불공정, 비효율적인 상황들을 인공지능이 해결할 수 있을거라는 강한 기대감을 가지게된다. 10대 청소년이 인공지능에 대해서 이해하여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지는 것은 여기에 있다.
* 이 책은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의견을 서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