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기의 땅 1부 6 : 맹세 ㅣ 용기의 땅 1부 6
에린 헌터 지음, 윤영 옮김 / 가람어린이 / 2022년 6월
평점 :
![0690-1.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000e524246a94f0b8b6eec831b556fa5.jpg)
<전사들(Warriors)>과 <살아남은 자들(Survivors)> 에 이어서 <용기의 땅(Bravelands)>을 읽게 되었다. 앞선 두 편의 청소년 소설은 인간과 인간이 키우던 반려동물과의 관계를 그려내고 있다면, <용기의 땅(Bravelands)>은 야생의 삶을 온전히 반영하고 있으며, 적자생존의 죽음의 땅, 생존의 땅에서 초식동물과 육식동물, 여기에 영장류가 함께 공존하고 있었다.
![0690-2.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32c974dbc2eb4177ad2976e9722df9ea.jpg)
![0690-3.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67aea170369a48df9c547edce56f7188.jpg)
타이탄 무리의 위협으로 인해 베리와 쏜이 위태로워지고 있었다.쏜 대신 베리가 죽어야 했고, 쏜은 베리의 죽음을 기억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 자신이 아니면 타이탄 무리를 영원히 제거할 수 없을거라는 생각이 쏜에게 미치게 되었다. 타이탄의 두려움 속에 생존이 위협하고 있었으며, 적대적인 존재를 고스란히 반영하는 가운데, 타이탄에 맞설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게 된다.
![0690-4.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6fc94cc3085a4b3fb7f65f43726538d8.jpg)
![0690-5.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7ca6404f71494778b9cfc8d5ddf57384.jpg)
평온한 대초원, 타이탄과 늑대의 무리는 거침이 없었다. 변칙기술로, 마이티 무리의 마이티를 상대로, 늑대무리의 타이탄은 승리를 가져가게 된다. 야생에서는 오로지 먹히거나 잡아먹는 그 무리들에겐 보이지 않는 서열이 존재한다. 서로 결투 신청을 하고, 승자는 승리의 포효를 하고, 패자는 조용히 물러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공교롭게도 타이탄은 스스로 원칙을 마이티 무리의 마이티를 상대로 , 변칙기술을 써게 되었고, 스스로 대초원의 원칙을 깨트리게 된다. 늑대의 무리숲에서, 오로지 원칙은 나 자신, 타이탄이기 때문이다.
![0690-6.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c94feb6388bc469e9b9af81055bb92d8.jpg)
![0690-7.jpg](http://tpimage.kyobobook.co.kr/upload/blog/2022/07/19/698607deddc0421d92fe6429fb4f6139.jpg)
쏜은 냉정했다. 사자 피어리스가 결코 타이탄에게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냉정한 판단이 있다. 변칙기술에 능한 타이탄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은 피어리스도, 베리도, 베어리도 아닌 오로지 쏜 자신이다. 하지만 주변에서 쏜은 겁쟁이, 멍청한 존재로 각인되었고, 쏜이 타이탄을 무찌를 거라고 그 누구도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쏜은 다른 여느 야생동물이 가지고 있지 않은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스스로 생각할 수 있었고,그 생각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었다는 것이다. 즉 어떤 문제가 나타날 때, 쏜은 생각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누구도 자신에게 맞설 수 없다는 것, 쏜의 나약함과 열등감이 타이탄과 늑대무리에게 위협이 될 거라고, 그 누구도 알지 못하였다. 하지만 쏜은 스스로 자신의 존재가 위대하다는 것을 각인시킬 줄 알았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