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비트겐슈타인, 나_라는 세계의 발견
나카무라 노보루 지음, 박제이 옮김 / 독개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689-1.jpg


0689-2.jpg


0689-3.jpg


0689-4.jpg


그런 알 수 없는 일투성이인 이상한 세계가 애초에 '있다' 는 것. 이것은 대체 무엇인가? 왜 이렇게 되어 있는가? 이 지점에서 깊이 생각하는 것. 그것이 바로 철학이가. 왜 이 세계가 존재하는가, 이런 의문을 던져야 한다. 이 절대 해결될 것 같지 않은 높은 벽에 부딪혀 쓰러져서 옴짝달싹 못하게 되는 것이 바로 철학이다. (-15-)

이러한 방식으로 '윤리'를 정하지 않는다면,우리는 '무엇이든 가능한' 세계에서 날마다 살아가야 한다. 그렇기에 '윤ㄹ;'는 원래 상댑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이러한 귀찮은 절차를 밟지 않으면 명령이나 금지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윤리를 비트겐슈타인은 어떻게 생각했을까.비트겐슈타인 일생에 딱 한 번 있었던 '윤리에 대한 강연' 의 내용을 살펴보자. (-40-)

비트겐슈타인은 말을 통한 주고받음을 '언어 게임'이라고 표현했다. 그다운 표현이다. 일단 전혀 '철학'스럽지 않다. '말' (언어) 과'게임' 이라는 누구라도 언제든 쓸 수 있는 말을 결합했을 뿐이므로,'말장난'이라고 번역하고 싶을 정도다. (-75-)

'고통'을 동반한 고통의 몸짓과 고통 없는 고통의 몸짓이 지니는 차이'를 이 두 방향에이라는 관점으로 보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다. 왜냐하면' 고통을 동반한' 이나 '고통 없는'이란 나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인데,'고통의 몸짓' 은 공공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고통이 있는지 없는지'는 나밖에는 모른다. 타인은 절대로 엿볼 수 없다. 그러나 '고통의 몸짓' 은 모두가 확인할 수 있는 언어 게임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다. (-153-)

단순히 나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인간은 그동안 고민하였고, 끊임없이 질문하게 된다. 해갈되지 못하고, 해결될 수 없는 궁극적인 가치에 대해서 말을 한다는 것은 나에 대한 기대치를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나라는 세계는 언제든 독자적이며,나를 함께 세울 수 있다는 기준이 포함된다. 나를 둘러싼 사람과 내가 쓰는 언어, 내가 소비하는 문화와 관습, 그리고 감정과 느낌을 표현한다는 것, 그러한 것은 나라는 세계 속에 포함하고 있으며, 나의 삶을 바로 세울 수 있는 남다른 기준이 되고 있다. 즉 나라는 세계를 이해하면, 나에게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인간과 윤리는 벗어날 수 없고, 언어 속에 포함되고 있다. 즉 인간은 윤리 안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얼마든지 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비트겐슈타인은 평범한 인간이 추구하는 세계를 다루면서, 거기서 원하는 것을 항상 갈구하였다.자신을 가두는 언어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 노력과정에서 희열을 느끼면서 살아가게 된다. 그가 생각하는 철학은 이렇게 만들어지고 있다. 나 또한 이 책에서, 나라는 세계를 간파하게 되고, 그곳에서 ,나를 위한 인생을 서서히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주어진 원칙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탈피하려는 인간의 속성,이용하고,이용당하면서, 그안에서, 생존을 원하고,나만의 욕구와 욕망를 분출한다. 벗어나지 않되,얼마든지 벗어날 수 있는 방향성을 찾아가는 것, 그 안에서,나에게 요구되는 여러가지 과정들을 완성해 나갈 수 있고, 나에게 이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리뷰어스배너.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