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모되는 남자 - 남녀차에 대한 새로운 사회진화적 해석
로이 F. 바우마이스터 지음, 서은국.신지은.이화령 옮김 / 시그마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우리는 앞으로 사회의 정사에 있는 남성들에 대해 이야기를 할 것들이 정말 많을 것이다. 이 남성들은 문화가 어떻게 남성을 이용하거나 착취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문화가 제공하는 보상의 큰 부분을 향유하기 때문에 어떤 이들은 남성들이 착취당한다고 말하기를 꺼릴 것이다. 하지만 문화는 자체가 이익을 위해 정상에 있는 남성들에게 큰 보상으 나눠 주며 그들을 이용한다. 보다 균형 있는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사회의 최상위층 뿐만 아니라 최하위층에 있는 남성들도 볼 필요가 있다. (-46-)
여성이 남성보다 더 사회적이라는 젼해와 그것을 그럴듯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증거로 돌아가자.제대로 살펴보면 그 증거는 여성이 더 사회적이라는 사실을 지지하고 있게 아니다.그보다 여성들은 친밀한 사회적 관계에 치우쳐 있는 반면 남성들은 더 큰 규모의 집단을 지향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76-)
남성들의 경쟁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집단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여성의 영역에서는 이런 처참한 결과가 생겨나지 않았기에 살기에는 더 편안했다. 하지만 패자가 없다는 것은 분명한 승자도 없다는 뜻이며, 이런 경우 발전도 더디게 일어나기 마련이다. (-251-)
남자다움은 쟁취해야 하는 것이며, 남자답기보다 여자답다고 여겨지는 남성은 그것을 쟁취하는 데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여성들은 잘 이해되지 않겠지만 이 문제는 남성 자아의 핵심을 건드리는 중요한 이슈다. 연구들에 의하면, 여성에게 남성을 닮았다고 말하는 것은 그 반애듸 경우만큼 위협적이지 않다. (-347-)
현대사회에서는 사랑의 힘과 가치에 대해 극찬한다. 노래, 영화, 책을 비롯한 많은 매체들은 사랑이 영원히 계속될 거라는 테마를 한없이 반복한다. 좀 이상한 거이 사실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밝혀진 열정적이고 로맨틱한 형태의 사랑은 몇 달에서 길어야 한 두 해 후엔 가라앉는 일시적 현상이다. (-430-)
대다수의 이혼녀들은 재혼하지 않는다.이혼한 남성은 여성보다 훨씬 더 재혼할 확률이 높다. 단지 개인적인 기호 차이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하여 커다란 거래가 발생했는데 여성은 직업적 이점과 혜택을, 남성은 더 많은 섹스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484-)
가끔 남성다움, 여성다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사회생활은 남성이 더 잘하고, 여성은 사회생활을 잘 못한다는 편견이 있다.하지만 이 책은 다르게 바라보고 있다.남녀의 차이가 시간이 흘러가면서, 편견과 선입견, 선택과 문화로 인해 만들어진 강제적인 결과라고 본 것이다. 남성이 여성다워지면, 위협적인 요소가 생기고, 잃어버리는 것이 많다. 상대적으로 여성이 남성다움을 보여주면, 잃어버리는 것이 적어진다. 사회생활에서, 많은 여성들이 외치는 것, 여성 정치인이 아닌 정치인으로 봐 달라고 말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우리 사회가 강제한 수많은 가치와 의미들은 남성은 이렇게 해야 하고, 여성은 이래야 한다고 말한다.그 범주에서 벗어날 경우, 거기에 대한 위협을 가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것을 마치 당연하게 생각한다. 모성애는 당연하고, 부성에는 위대하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며, 여성과 남성을 동등하게 볼 때, 그 오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남성이 가지고 있는 본능과 여성이 가지고 있는 본능은 태초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상황에 다라서, 여성이 남성의 역할을 대신하였고, 남성은 여서으이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하지만 사회 구조가 복잡해지고, 남성 중심의 사회가 만들어지면서, 여성은 나약하고, 남성은 강인하다는 룰을 만들었고,그것이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는 암묵적인 합의, 모종의 거래가 발생하게 되었다. 즉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하나둘 살펴 보아야 하며, 새로운 가치에 따라서, 원칙이 있어야 할 때이다. 자연스러운 변화도 주요하지만, 강제적인 변화도 놓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것을 행할 때,우리가 바라보아야 하는 것에 대해서, 경험하고 ,체득할 때, 우리 스스로 무엇이 유리하고, 무엇이 불리한지 알 수 있다면, 남성의 행동과 여성의 행동, 집단이나 조직에 대해서, 여성이 바라보는 시점과 남성이 바라보는 시점에 차이가 나는 원인이 어디에서 나타나게 되는지 한걸은 더 나아갈 수 있으며, 우리가 만든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 조목조목 따져 볼 필요가 있다.흥미롭고 , 독특하게 바라보게 되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