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부로 위로 받으려 하지마 - 조금만 힘들어도 위로에만 의지하는 당신에게 던지는 쓴소리
예슬린(Yay, S. Lin) 외 지음 / 렛츠북 / 2022년 6월
평점 :
상처, 우리 말에 검은 머리 품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 그 말인즉슨, 검은 머리는 언젠가는 나에게 배신감을 안겨 준다는 의미를 함의하고 있다. 앞ㅇ네서 위로하고, 뒤에서 아픔을 주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는, 아이러니한 성황이 발생하게 된다. 길을 걸어가다가,돌부리에 내 발이 채일 때, 그 아픔보다 더 큰 마음의 상처가 남게 된다. 책에서는 바로 그런 상황에 대한 이해, 위로가 나의 문제, 나의 고통에 대한 근본저긴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드라마 <내이름은 김삼순>이 생각난다. 그 드라마에는 상처많고 거칠고, 여린 마음을 지닌 삼순이가 나온다. 아픔과 고통으로 살아가면서, 나의 썩어가는 그 마음을 위로받고 싶어질 때, 누군가 정신 차리라는 거친 말이 등장하곤 한다. 아파하고 있을 때, 그 순간 등짝 스메싱이 야속할 때가 있지만, 현실을 자각하게 되는 그 순간이다. 미련과 집착에서 내려놓을 때, 위로가 아니더라도, 내 마음을 어루만지게 되고, 치유받을 수 있다. 나의 실수로 인해 생기는 어떤 문제이든, 외부의 어떤 문제로 인해 내가 억울한 상황에 놓여지던 간에, 나 스스로 근본적인 해결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상처는 계속 내 몫으로 남을 수 있고, 똑같은 상황에 똑같은 일이 내 앞에 놓여지게 된다. 그래서 우리의 위로 중독증에 대해 경계하고, 우려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사실 나 또한 억울할 때도 있고, 내 주변에 억울한 사연을 품고 있는 이도 있다. 그 상황에 대한 억울함만 바라보면, 나의 문제를 보지 못하게 된다. 위로가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어설픈 위로가 더 큰 상처가 되고, 가까웠던 사람이 서로 관계가 멀어지게 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내가 듣고 싶은 말을 들으려 하는 욕심이 위로 중독증의 결과에 해당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