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경제 - 바이두(Baidu), 인공지능이 이끄는 미래를 말하다
리옌훙 지음, 장샤오펑 외 엮음, 이서연 외 옮김 / 버니온더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0577-1.jpg


    0577-2.jpg


    0577-3.jpg


    0577-4.jpg


    0577-5.jpg


    0577-6.jpg


    0577-7.jpg


    0577-8.jpg



협동과 융합, 공유는 함께 성장한다. 협동은 새로운 연결 메커니즘, 협력모델인만큼 심도 있는 협력은 에너지 소비 최소화, 효율 극대화, 가치 다중 최적화가 가능하고, 진정한 경제를 넘는 융합이 가능하다. 모든 능력, 관계와 자원을 공유하면 굳이 0 에서 1까지 일을 다할 필요가 없다. (-23-)

스마트 경제는 차세대 정보 기술,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 및 이들의 협력 혁신 성과를 기초로 하고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스마트화 융합발전을 지렛대로 하며 데이터 주도, 인간과 기계 간 협력, 경계를 허문 융합 발전을 지렛대로 하여 데이터 주도,인간과 기계간 협력, 경계를 허문 융합, 공동의 창조와 공유를 특징으로 한다. 경제사회 각 영역, 다원화된 시나리오와 심도 있게 융합하고 스마트 인프라와 인프라 스마트화를 통해 신인프라 건설을 추진하며, 스마트 산업화와 산업 스마트화를 통해 기술 진보, 효율 향상, 성장 방식 변혁을 추진한다. (-80-)

사회는 경제, 문화, 정치, 법,기술이 유기적으로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여주곤 한다. 여기서 스마트 사회는 스마트 경제를 위한 바탕이 될 수 있고, 백그라운드가 된다. 제3차 산업 사회는 제3차 산업 사회에 걸맞는 기술과 인프라, 문화와 정치, 법률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그 산업 사회에 적응하면서, 자신만의 기준과 원칙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술과 인프라만 있고, 법과 제도가 없으면, 폭ㄹ주 기관차가 되고, 인간이 수천년간 만들어 놓은 사회가 한순간에 무너진다. 스마트 경제를 이해하기 전 스마트 사회를 먼저 이해하고, 그 기준에 맞춰 나가야 한다.

스마트 경제의 핵심은 디지털화, 네트워크화,스마트화이다. 인간이 배제되어도 똑같은 상황과 조건이 만들어질 때, 스마트 사회, 스마트 경제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인간의 뇌와 손과 발, 몸을 대신할 수 있는 것, 인공지능과 로봇이 스마트 경제의 핵심 기술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 자동화, 딥마인드가 또다른 스마트 인프라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몸과 마음, 지성이 있어도, 그것을 서로 연결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디지털화, 네트워크화,스마트화는 필수 조건이 되고 있다.

즉 스마트 경제가 완성되려면, 지구에서 했던 모든 산업 자원들이 인간이 살기 힘든 곳이나 환경, 달이나 화성에서 똑같이 진행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인간이 없어도, 인간이 헤 왔던 것을똑같이 진행할 수 있고, 더 잘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스마트 경제의 핵심이 될 수 있다. 즉 인간의 노동력이 없더라도, 잘 돌아가는 경제구조,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경제 인프라가 스마트 경제의 운영주체가 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중국 경제를 주도하는 바이두, 화웨이가 있다. 데이터 경제 인프라, 인공지능과 AI 에 근간을 둔 새로운 형태의 산업 구조가 만들어 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