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처럼 일하지 않습니다 - 네덜란드의 탄력근무제에 깃든 삶의 철학
린자오이 지음, 허유영 옮김 / 행복한북클럽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용성을 추구하는 그들은 감정에 치우친 행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 이미 일어난 일은 어쩔 수 없으니 그걸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 , 어떻게 하면 재발을 막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며 해결안을 찾는데 집중한다. 남을 탓하고 비난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26-)

정례회의에는 항상 두가지 재미있는 안건이 포함된다. 바로'휴가계획'과 '대응조치' 다. 휴가가 길기 때문에 동료들이 번갈아가며 2~3주씩 자리르 비우는 일이 매우 흔하다. 그래서 휴가 날짜가 너무 겹치지 않게 짜는 것이 중요한 안건이 된다. (-77-)

2008년 금융 위기로 유럽 각국이 경이 침체를 겪을 때 네덜란드의 사회복지 관련 예산도 대폭 축소되거나 법률 개정을 통해 수행자의 자격을 엄격히 심사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65세 이상 노인은 매달 재직 시 적립해 둔 퇴직금 외에 정부의 노령 연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 정부의 재정 축소로 인해 관련 법규가 잇따라 개정되면서 법정 퇴직 연령이 65세 이후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 (-108-)

2013년 베아트릭스 여왕이 퇴위하고 그의 장남 빌럽 알렉산더르가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했다.이에 따라 여러 정부 기관에 신임 국왕과 왕비의 초상이 걸렸다. 그런데 일부 판사들이 국왕 부우의 사진 앞에서 판결하는 것을 거부했다.'국왕의 부인'인 왕비 초상 앞에서 '헌법 국가 원수의 명의로 판결한다'라고 선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이었다. (-171-)

일에 대한 열정이 있는 것도 아닌데 늦도록 퇴근하지 않고 사무실에 남아 있는 사람들이 있다.야근을 핑계로 가족과의 갈등을 회피하려고 하거나 퇴근 후 혼자 있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자기계발에 시간을 쏟을 수 있다면 조금이라도 일찍 퇴근하고 싶어질 것이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퇴근 후의 시간을 즐기기 위해 아무 미련도 없이 회사를 나선다. (-221-)

한구의 직장 문화에서, 성실과 근면을 최고로 치고 있다.일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세와 태도, 조직의 공통된 규칙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직장 내부의 부당한 착취에도 불구하고, 관행이라는 이유만으로 회사에서, 직장 안에서 탸근 후 집으로 가지 않는 직장인이 있는 이유는 직장을 핑계 삼아서,자유로운 시간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최근 들어서, 부부 사이에 주말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직업에 대한 생각과 기준, 원칙이 서서히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은 과거에 비해서 옅어지고 있지만, 직장 상사를 우선하고, 리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 특유의 조직 문화가 있다. 같이 뭉쳐야 한다는 생각이 가정과 직장, 사회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구 유럽 사회가 보여주고 있는 삶과 직장의 균형잡힌 생활이 한국에는 여전히 요원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더 나아가 일주일 근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불이게 되면, 언론과 여러 단체들이 그 문제점과 부작용을 제시하면서, 법과 제도의 특 밖에서 막으려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우리 내면에 숨어 있는 가치관과 문화의 변화이다. 네덜란드의 탄력근무제 너머에 숨어 있는 실용성과 합리성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주어진 시간 안에서 일을 하고, 칼 퇴근 후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네덜란드 인틀처럼 2주~3주 장거리 여행을 떠난다면, 직장을 떠날 각오가 되어야 한다는 정서가 만연한다. 여행을 여행 문화로 보지 않고, 노는 문화로 보기 때문에, 편견과 선입견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었다. 최근 우연히 보게 된 짤막한 기사 하나, 6.1 선거철을 앞두고,공공기관 단체장이 사임을 함으로써, 공직 사회의 기강이 해이해졌다는 기사 뉴스를 보면서, 우리 사회에 네널란드의 탄력근무제가 정착하려면, 무엇이 바뀌어야 하는지 먼저 생각하게 된다. 한국인의 보편적인 직장 문화와 사고방식, 철학이 바뀌어야 새로운 제도가 정착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