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ESG 경영전략
(사)사회적책임경영품질원.ESG경영연구회 지음 / 자유아카데미 / 2021년 9월
평점 :
ESG 개념의 뿌리를 살펴보면, 지구촌을 지속가능하게 살기 좋은 지구로 만들자는 유엔이 주도하는 지구촌의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의 대두(1972년) 와 OECD 가 1977년에 기업의 준수 사하으로 제시한 '다국적 기업에 대한 OECD 가이드 라인'이었다. 그 후 1997년에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란 조직이 탄생하면서, 기업의 경제성과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윤리성 등의 실천성과를 '지속가능경영보고소(sustainability report)'로 발표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유엔의 주도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글로벌 콤팩트 (global Compat)가 출범(2000년)되었고, 국제표준화기구에서 2010년에 사회적책임 국제표준인 ISO26000 이 제정된 것이 ESG 경영의 근간을 형성시켰다고 볼 수 있다. 최근 (2015년)에 유엔이 각국에 요구하느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은 ESG 개념의 확산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7-)
또한 GRI 는 환경, 인권 및 부패와 같은 이슈들의 영향에 대해 기업, 투자자 , 정책입안자, 시민사회, 노동기구 및 기타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중이해관계자 프로세스(multi-stakeholder process)에 의해 GRI 지침 또는 표준을 개발하여 필요로 하는 조직들에 도움을 주고 있다. (_57-)
한편,RE100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 활동 단계를 거쳐야 한다. 첫째, 기업의 RE100 달성에 대해 공표를 해야 한다. 기업이 미래의 일정 시점에 이르러 자신의 전력 사용량의 100% 를 쟁생에너지로 달성하겠다고 하는 선언이 필요하다. 둘째, 공표한 계획대로 재생에너지를 조달애야 하는 단계이다. 물론 조달 방법은 기업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방법을 구사할 수 있다. 셋째, 재생에너지를 조달한 실제 전력량이 목표대비 얼마를 달성했는가를 CDP(RE100 의 공동주최사)에 보고하여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3단계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 기업만이 RE100 인증을 받아서 자사의 이해관계가 , 특히 비즈니스 파트너(Business Partner) 와 고객으로부터 인정받게 됨으로써 ESG 경영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게 된다. (-123-)
기업이 지속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업경영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책임, 환경적 책임의 세가지 측면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한다.이런 측면에서 기업이 경제적 이익을 올리면서도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경영활동으로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s Value) 경영이 각광을 받고 있다. (-215-)
영국에서 시작한 제1차 산업혁명은 하나의 지구촌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인류의 평균적인 수명을 연장하였으며. 도시에 전세계 인구가 모여들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국가는 국가의 목적에 맞게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이 되도록 금융지원과 사회적 장치 지원까지 물심양면 노력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국가의 부는 커져가게 되었으며, 한 나라의 경제의 파이는 커질 수 있었다. 하지만 세상은 긍정적인 면이 있다면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부정적인 면으ㅗ,란 기업의 성장으로 인해, 국민의 삶이 좋아진 반면, 무분별한 소비로 인해, 쓰레기가 늘어나고, 쓰레기를 처리하느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데 있다. 쓰레기를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과정에서 국제관계의 갈등, 환경적 오염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 인류의 생존 문제가 결려있게 되었다. 단순히 지구촌 환경오염,기후변화가 아닌 인류의 멸종을 걱정해야 할 때이다. 그 대안으로 나타난 것이 기업 스스로 ESG 경영전략을 세우는 것이며, 기업의 생존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추구하는 경영전략이다. 즉 기업의 기족가능성장 목표를 하나하나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의 기업 정책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RE100인증을 한 기업에게 경제적 지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한 기업으로 홍보하고, 적극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이 책에서 강조하는 ,ESG 경영전략의 주요 핵심 가치였다. 즉 ESG 경영 전략을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개인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환경문제,기후 문제에 적극 나설 수 있어야 한다.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겠다는 기업의 적극적인 의지, 탄소 배출량을 줄여 나가겠다는 강한 의지가 환경,사회, 거버넌스가 하나의 목표를 위해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