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워풀한 실전 과학 토론 - 39가지 논제로 ‘과학 토론, 수행 평가’ 완전 정복! ㅣ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3
남숙경.이승경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여러 대륙에서 홍수, 폭우, 폭염, 태풍을 포함한 극한 현사이 나타나고 있다.특히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피해는 더 심각하다. 해양 생태계 및 농업 생산지역이 이동하며, 병충해가 늘어나는 등 자연 질서가 파괴된다. (-23-)
우리나라에서는 식용 곤충으로 총 9정을 허가하고 있다. 메뚜기, 식용 누에 번덱시, 백강잠, 갈색거저리 유충, 쌍볊 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받은 식용 곤충이다. 메뚜기, 누에 번데기, 백강잠은 ㅇ도래전부터 식품으로 등록되어 먹어 왔다. (-160-)
제조업용 로봇
제조업용 로봇의 활성화 요인은 크게 제조 생산 방식의 변화, 스마트 팩토리 도입 확대, 제조업용 로봇이 적용 산업 분야의 확대 등으로 볼 수 있는데,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276-)
항로 개척으로 극지방을 항해하는 선박이 많아지면서 오염 물질과 이산화탄소 배출 등이 늘어나 지구 온난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특히 극지방은 낮은 기온으로 생물학적 분해가 잘 안되기 때문에 오염이 생테계에 미치는 타격이 더 크다. (-357-)
우리나라 미세 플라스틱 퇴치를 위한 대책
2017년 7월부터 마이크로비즈가 함유된 제품의 생산과 수입금지
2018년 8월 플라스틱 컵 사용 금지
2019년 해양 미세 플라스틱 종합 관리 대책 수립
2027년까지 일회용품과 플라스틱 발대 제로화 공표 (-420-)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39가지 논제다. 그 39가지 논제는 지구 온난화, 쓰레기, 인공지능, 미세 먼지, 물부족, 바이러스, 식용곤충, 냉동인간, 동물실험, 생체모방, 줄기세포, GMO , 생물멸종, 조유인플루엔자, 백신, 스마트시티, 드론,증강현실, 가상현실, 혼합현실, 인공 지능로봇, 3D 프린터, 자율주행자동차, 탈원전, 자연환경 활용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기후 변화의 원인, 비무장 지대, 극지방 개발, 산불, 녹조와 적조, 도시광산, 라돈, 화학물질, 미세 플라스틱, 우주 개발, 지진, 지진해일, 적정 기술, 소음공해,빛과 광기술이다. 이 39가지 논제는 우리 사회에 대해서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노제들이다. 그리고 39가지 논제를 통해 과거 ,현재,미래를 보여주고 있으며, 개통령이라면, 과학에 있어서 반드시 짚고 해결해야 하는 숙제이며, 정책 현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와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 문제 뿐만 아니라 우리가 안고 있는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으며,기후와 환경에 민감한 숙제가 되고 있었다. 특히 쓰레기 문제가 지구 환경에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욕망의 극대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책을 읽으면 우리는 여러가지 생각들을 할 수 밖에 없다. 바로 환경문제,지구온난화가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구 온난화, 탄소발생 문제 등등 여러가지 상황들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었다.즉 이 책 한 권으로 우리 사회의 현안을 속속히 파헤치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회적,과학적 재반 사항을 눈여겨 볼 수 있었다. 과학 토론 속에 정책 토론, 문화 토론,대안마련,미래 예측까지 가능해지며,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주목적이 되고 있었다. 특히 우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은 과학 문제를 과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되고 있었다. 우주공간에서, 무인로봇에 의해 우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그 과정에서 우리는 현재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히 생명공학,인공지능은 제4차 산업혁명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과학기술의 발달은 어디까지 이어지는지 확인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