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질문법 - 조직의 성과를 이끄는 신뢰와 협력의 소통 전략
에드거 H. 샤인.피터 샤인 지음, 노승영 옮김 / 심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겸손한 질문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문제를 직시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의 동기를 확인하고 친구나 코치에게서 어떤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파악하도록 도움으로써 그가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데 일조한다. (-33-)

겸손한 질문의 태도는 호기심, 진실을 향한 열린 마음, 또한 서로 귀 기울이는 법을 배우고 상대방을 논쟁으로 굴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맥락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적절히 대응하는 법을 배우면 대화와 관계를 통해 통찰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깨달음에서 비롯된다. (-34-)

겸손한 질문은 도움을 주고 관계를 맺고 상황을 해석하는 횅위의 조합이다. 띠라서 배우는 사람인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기술은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상황이 달라지면 요구되거나 허용되는 행동이 달라지므로 ,다음으로 중요한 기술은 무엇을 언제 어떻게 묻고 언제 자신을 드러낼지, 언제 공감하는 반응을 드러낼지를 민첩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68-)

당신이 묻는 것, 즉 질문의 내용이 상황을 규정한다. (-105-)

어떤 문화는 관계를 임무 완수의 본질적 요소로 여기며 신뢰 구축에 의식적으로 시간을 쏟는다. 미국에서는 관계를 맺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인내심을 발휘하지 못하고 차라리 혼자 어떻게든 해 보는 쪽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정보 기술이 발전하여 사실상 모든 것이 빨라진 지금은 인내심이 더욱 줄어들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미국 문화의 모든 측면이 기준 이상의 업무 성과를 관계 맺기보다 중요시할 뿐 아니라 이 문화적 편견을 의식하지 못하거나 아예 이 편견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관계가 부서지지도 않았는데 뭐하러 고치겠는가? (-115-)

절제되고 신중한 관찰과 순수한 호기심은 잘못된 판단과 부적절한 행동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186-)

겸손한 질문은 다양한 상황에서 구사할 수 있고 구사해야 하는 태도다. 이 태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황인식이다. 상황인식이란 각각의 대화에서 자신의 목적이 무엇이고 그것이 현 상황과 어떻게 맞물리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당신은 탐구 중일 수도 있고 오락을 즐기는 중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설득하는 중일수도 있다.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하는 중 일수도 있고 상황이 모호하거나 대립적일 때 진상을 파악하려고 애쓰는 중일수도 있다. (-218-)

현대 사회에서 리더의 역할은 중요하다. 리더가 있을 때와 리더가 없을 때의 차이는 조직을 아우르느 경영 일선에서 극명하게 달라진다.기업이나 오케스트라에서 지휘자 역할을 하는 리더는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제안하고, 그 목표를 위해 , 필요한 조건들을 차곡차곡 쌓아간다. 그래서 리더는 남다른 리더십을 기반으로 겸손한 질문이 필요하다. 여기서 겸손한 질문이란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가 먼저되어야 하며, 관계를 중시하거나,성과를 우선할 때, 선택과 결정을 달리해야 한다. 확장하여, 겸손한 질문을 통해 조직 문화를 만들고, 신뢰와 협력,성과를 얻게 된다. 겸손한 질문을 통해 구성원 간에 호기심, 관심을 얻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팀워크를 확보할 수 있다. 조직 내에서 가치와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 겸손한 질문법에 대한 접근법을 우선하게 되며, 물질적 관습을 조직의 리더십에 투영할 수 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