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는 것, 여성인력 이용, 창업가 정신, 이 세가지가 꼭 필요하다. 학생 하나하나가 돈을 벌기 위해서 자본가가 되어야 하고 "나는 취업하지 않고 창업을 하겠다!"라고 결심하는 것이 중욯하다. 나에 대한 철학이 확고하면 좋은 라이프가 펼쳐진다. (-36-)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해 실업률이 늘고 있고 특히 청년실업률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있다. 경기 악화로 인해 기업이 채용 인원을 줄이면서 청년들의 취업난이 심각한 상태다. 심각함 일자리 부족을 벗어나기 위해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30세대의 소상공인 창업이 늘어나고 있다. 청년창업은 벤처 스타트업으로 대표되었지만 최근 도소매업 ,음식점 등 소상공인 주력 업종에 집중되고 있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88-)
중고등학교 교육의 목적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제몫을 다하기 위함이다. 노동을 중시하고, 결제 발전을 위한 교육이 우선되고 있었으며,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변화들이 감지되고 있었다. 교육의 근본은 노동을 신성시하는 것이 핵심 요지가 된다. 우선 우리는 교육의 변화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새로운 변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먼저였다. 국영수 중심의 암기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은 금융문맹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래서 , 단순히 저축으로 자산을 불리는 이들이 대다수의 국민들이다. 부동산, 주식, 펀드로 부자가 되기 위해 ,금융문맹에서 탈출하는 것이 먼저다. 소위 산업현장에서 일하기 위해서, 공무원ㅁ이 되기 위해서, 취업과 노동을 위한 교육은 있지만, 금융 교육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 금융문맹에서 탈출하기 위패 꼭 필요한 지식과 소양, 조건과 자질를 살펴 볼 수 있다. 즉 취업난으로 인해 증가하는 청년 창업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투자스킬이 우선된다. 단순히 절약하고, 빚을 줄여 나가는 것을 넘어서서, 투자와 수익, 자본에 대한 이해가 먼저였다. 그 과정에서 취업이 아닌 창업, 경영, 재테크를 통해 코로나 19 위기를 극복하는 것, 존리가 생각하는 금융지식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삶의 근원적인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히 실업 문제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투자리스크를 줄여 나가는 것,그것이 금융문맹에서 벗어나 스스로 돈을 벌 수 있는 부자스킬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