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점의 힘 - 독자는 모르는 작가의 비밀 도구 내 글이 작품이 되는 법
샌드라 거스 지음, 지여울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지적 시점은 가장 거리감이 있고 비개인적인 시점이다. 독자는 인물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 사건을 경험하지 않는다. 독자는 소설의 모든 사건을 일정한 거리를 둔 채, 화자의 렌즈를 통해 보게 된다. 그 결과 독자는 1인칭 시점 혹은 3인칭 제한적 시점에 비해 인물과 밀접하게 유대감을 형성하지 않는다. (-56-)

거리가 먼 3인칭 제한적 시점에서 화자의 목소리는 중립적이다

거리가 가까운 3인칭 제한적 시점에서는 등장인물이 화자가 되며 이야기는 시점 인물의 목소리로 서술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화자가 사용하는 어휘와 문법 형태는 시점 인물의 성격과 배경, 감정 상태에 걸맞은 것이어야 한다. 3인칭 제한적 시점의 하위 유형들에 대해서는 3인칭 깊은 시점을 다루는 점에서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69-)

3인칭 깊응 시점은 1인칭 시점 만큼이나 직접적이고 내면적인 시점이다. 독자는 시점 인물과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고 자신을 동일시할 수 있다.

책 전체에 걸쳐 한 사람의 시점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며 여러 명의 시점 인물을 둘 수 있다.

깊은 시점으로 소설을 쓰면 글에서 '말하기'를 배제하고 그 대신 장면을 '보여줄' 수 있다.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는 너리 알려진 글쓰기 조언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84-)

3인칭 다중 시점은 전지적 시점과 다르다. 3인칭 다중 시점에는 전지적 존재의 화자가 없다. 독자는 각각의 방면에서 단 하면의 인물이 생각하는 것만을 접하고 그 인물의 감정만을 경험한다. 어떤 작가들은 한 챕터 안에서는 한 명의 시점 인물을 계속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한다. (-100-)

우리가 주위 환경에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는지는 우리의 성격과 감정 상태, 그 환경에 우리가 얼마나 익숙한지에 다라 달라진다. 어떤 장소 혹은 인물을 정말로 잘 알고 있다면 그 장소나 인물의 겉모습에 대해서 보통은 의식하지 않기 마련이다. 따라서 시점 인물에게 이미 친숙한 대상을 마치 처음 보는 것처럼 묘사해서는 안된다. (-154-)

전지적 시점으로 소설을 쓰고 있다면 인물의 생각을 직접 보여줄 일이 없다. 인물의 생각은 화자를 거쳐 전달되어야 하며 작은따옴표로 묶인 직접적 내적 독백은 어떤 경우에도 나와서는 안 된다.

내적 독백은 보통 화자의 생각으로 여겨지기 쉽기 때문에 인물의 생각인 경우 생각 꼬리표를 이용하여 그 생각이 누구의 것인지 알려줄 필요가 있다. (-176-)

책에는 일곱가지 시점이 나온다. 그 일곱가지 시접은 1인칭 시점, 2인칭 시점, 3인칭 객관적 시점, 3인칭 전지적 시점, 3인칭 제한적 시점, 3인칭 깊은 시점, 3인칭 다중 시점이다. 교과서에서 배웠던 세가지 시점에 네가지 시점이 더 추가되었으며, 소설을 쓰는 이들 혹은 예비 작가들은 이 일곱가지 시점을 정확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라면, 자신이 좋아하느 최대 소설이 이 일곱 시점에서 어디에 해당되는지 찾아나간다면, 시점ㅂ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나 자신을 주인공으로 쓰는 자기 회고록적인 소설이 있고, 누군가 현존했던 인물을 주인공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세사을 떤나 과거의 사람을 소설로 쓰는 경우도 있다.대하 소설, 역사소설이 그런 예이다. 이런 경우 1인칭 혹은 2인칭 시점으로 소설을 재구성한다. 즉 주인공의 특징을 묘사하고, 그 주인공의 행동,심리,생각, 사유까지 소설에 디테일한 부분까지 제시하게 되며, 독자의 호홉이 소설에 스며들도록 , 소설의 깊은 호홉에 따라가게 해주곤 한다. 더군다나 이 책을 읽으면, 작가의 의도가 깊이 간여할 수 있고,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의 특징, 마르셀 프로스트의 소설은 어떤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는지 이해하느 과정에서 작가의 의도와 목적을 느낄 수 있다.

소설 중에 제일 인기 있는 것은 일본 소설, 북유럽 소설, 미국 소설과 같은 장르 소설이다. 추리, 스릴러, 탐정, 좀비, 드라큘라 등등이 나오며, 3인칭 전지적 시점, 2인칭 제한적 시점, 3인칭 깊은 시점, 3인칭 다중 시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설에서 독자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물을 묘사할 때, 그 인뭉의 중심축을 이해하고,스토리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으며, 화자와 주인고이 친밀할 때와 거리를 둘 때, 시점은 달라질 수 있다. 역사소설, 대하 소설과 같은 경우에도, 그 시점을 꼼꼼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었다. 스토리 구서에 다라서,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조합하여 쓸 수 있고, 3인칭 제한적 시점과 3인칭 깊은 시점을 섞을 수도 있다. 상황이나 조건, 인물의 특징이나 상황에 따라서, 스토리를 달리 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