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동네 길고양이
우재욱 지음 / 지성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고양이가 인간을 대하는 모습도 지역마다 다르다. 길고양이의 행동이 국가별로 판이한 것은 선천적인 기질이 아니라 경험 때문이다. 길고양이를 호의적으로 대하는 나라에서는 길고양이가 사람을 경계하지 않지만 적대적으로 대하는 나라에서는 사람을 두려워하며 피한다. 모로코나 터키처럼 길고양이에게 호의적인 이슬람권 국가에서는 길고양이가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다가온다. 이슬람권 만이 아니라 일본의 아오시마처럼 길고양이에게 호의적인 곳에서는 길고양이가 사람을 경계하지 않는다. (-47-)

그러던 어느날 비둘기를 향해 포복으로 기어가는 어린 노랑이 한 마리를 만났다. 어딘지 장난기 있어 보여서 어린 시절 보았던 청춘영화의 주인공 이름을 따서 '얄개'라고 불렀다. 얄개의 사냥행동은 그저 장난이었다. (-121-)

물론 놀이터 주변의 대표 고양이는 골목 고양이릐 세계를 알려준 이쁜이다. 하지만 이쁜이는 늙어서인지 고양이 세계에서 지위가 낮았다. 다른 고양이가 와서 사료를 먹어도 가만히 있었다. 자기 집 앞에서도 다른 고양이에게 쫓겨나기도 했다.심지어 비둘기가 와서 사료를 먹어도 멀거니 있었다. (-128-)

골목고양이는 이 자동차들 아래를 이동 통로로 즐겨 이용했고, 주차된 차량 밑에 들어가 있길 좋아했다.이동할 대도 이 차와 저차 아래로 움직였다. 차 아래로 들어가면 사람들이 어느 방행으로 다시 나올지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람의 손이 잘 안 닿고 어느 방향으로든 도망갈 수 있었다. (-140-)

길고양이에게는 구내염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구내엽에 걸리면 침을 질질 흘리고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서 결국 죽는다. 입이 아파서 그루밍도 제대로 할 수 없어 구내염에 거린 고양이는 매우 불결하고 불쌍한 모습이다. 못난이가 침을 많이 흐리고 털 결이 안 좋은 것을 보면 구내염에 걸린 것으로 보였다. (-161-)

농촌의 고양이는 대부분 외출냥이로 산다. 사람의 집에 살지만 사람과의 관계가 옅은 농촌 고양이들은 집고양이와 길고양이 중간의 애매한 성격이다. 농촌 고양이는 도시 고양이보다 좀 더 사냥 본능이 강했다. 비둘기가 사료를 기웃거려도 가만히 있는 길고양이 이쁜이보다 집고양이 꽃분이의 사냥 본능이 강했다. (-182-)

얼마전 때가 꼬질꼬질한 하얀 고양이를 본 적이 있었다. 컴컴한 밤 공용주차장에서 어슬렁 어슬렁 거리는 고양이의 모습이 관찰되고 있었던 것이다. 나에게 익숙한 코숏 고양이와 달리 귀하게 자란 고양이의 자태가, 땟국물에 가려져 있었다. 그 고양이를 보면서,우리가 생명을 쉽게 다루고 있음을 얼게 된다. 인간의 삶에 들여온 고양이를 집고양이처럼 키우다 싫증이 나면,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집고양이가 길고양이가 되고, 외출냥이가 되고, 길에서 로드킬을 당하거나, 구내염에 걸려 , 치료받지 못하고,죽음을 맞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한민국 사회는 전형적으로 고양이에 대해,혐오감을 느끼고, 적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슬람 권 문화에서, 고양이는 신으로 추앙받기 때문에, 고양이의 낙원이기도 하다.

흔한 길고양이로 도시 고양이가 있으며, 농촌고양이,어촌 고양이, 섬고양이,들고양이의 생태를 관찰하고 있다. 남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는 섬, 욕지도는 고양이의 섬이라 부르고 있으며, 고양이가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주변에 먹을 것이 천치에 널려 있었다. 주로, 어부가 소닐하고 남은 생선 부산물은 고양이의 먹이가 된다. 반면 농촌 고양이는 봄과 야른 가을이면, 들로,산으로 뛰어다니며 먹이를 구하고 있다. 실제 농촌은 쥐가 여기저기 창궐하기 때문에 ,고양이를 가까운 곳에 가축처럼 키우는 경우가 허다하다.하지만 농촌 고양이는 발정기가 되면, 자연스럽게 머물던 집을 떠나게 된다.그래서 반드시 중성화 수술이 필요하다.

쥐를 잡기 위해서 고양이를 키우게 되는데, 실제 길고양이는 쥐를 잡는 사냥 기술이 능숙하지 못한 경우가 허다하다. 만화 톰과 제리에서, 톰처럼 보일때가 많다. 태어나면서 집고양이로 자라다 보니, 사냥을 할 수 있는 기본 틀이 만들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양이가 사냥하지 않더라도, 쥐의 활동반경이 좁혀들기 때문에, 쥐가 도시에서, 농촌에서, 번식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독특한 주제를 가지고 있는 책 한 권, 흔하디 흔한 길고양이를 들야다 본 적은 없었다. 갑자기 후다닥 엉뚱한 곳에 튀어나와 놀라게 하였던 고양이, 자동차 밑에서 꾸벅 꾸벅 조는 고양이,어스름한 저녁이 되면, 아기 울음소리를 갸르릉 내는 고양이까지, 내가 생각하는 길고양이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면서, 생명의 가치를 보호하고, 아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