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권으로 끝내는 ESG 수업 - 대기업부터 중소기업, 스타트업까지 현장에서 통하는 ESG 인사이트
신지현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2년 2월
평점 :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ESG'는 EnvironmentalEnvironment(환경), Social (사회),Governance(거버넌스) 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다.ESG 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이며, 중장기 기업 가치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사회,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비재무적 지표다.즉, 기업의 재무재표에 직접적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기업의 지속가능성, 기업 가치와 연관된 비재무적 성과지표라고 할 수 있다. (-19-)
먼저 ESG 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전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라는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은 있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행을 줄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유엔에서는 기업을 움직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이해관계자인 '투자자'를 동원한다. (-22-)
2020년 레드 커넥트 활용 헌혈자의 연평균 헌혈 횟수 : 2.46회
2020년 레드커넥트 미활용 헌혈자의 연평균 헌혈횟수 : 2.01회 (-43-)
그런 의미에서 다음 질문에 대해 자문해 보면 좋겠다.
기관에서 가지고 있는 ESG 관련 강점은 무엇인가? (예, 환경, 국제협력 , 인권)
현재 협업하고 있는 기업이 고민하고 있는 ESG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함께 만들어 볼 수 있는 프로그램과 측정 방법은 무엇인가? (-105-)
조직화(Structuring):ESG 위원회 등 기구 설치 구조화 및 가소과
측정(Measure): 환경인증, 반부패 인증,RE100 등 국제인증,글로벌 이니셔티브 가입과 같이 측정가능 수단 확보 주력
연합(Alliance):에너지 얼라이언스 (10개 사),수소 동맹, 공동 ESG 펀드 등 적극적 동맹, 더 나아가 이업종 간 동맹 체결
관계(Relations): 소비자 대상 친환경 사업 및 협력사 공급망 관리와 ESG 컨설팅 등 관계 중심 프로젝트 추진
기술(Tech): 에너지 고효율 기술, 수소연료전지, 썩는 플라스틱 등 친환경 기술개발 및 대규모 투자 (-122-)
포스코는 철강산업으로 사업장 안전/보건 강화, 기후 변화 대응, 생산경쟁력 확보 등 10개 핵심 이슈가 선정되었다. (-150-)
디자인 씽킹 방법론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단계를 강조한다.
공감(Empathize): 관찰, 인터뷰, 체험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사용자 입장에서 고민
문제정의 (Define):어떤 것이 문제인지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관점으로 디자인
아이디어(Ideate) 정의된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대안을 제시
프로토타입(Prototype):아이디어 중 실현 가능한 것을 골라 시안이나 시제품을 제작
테스트(Test):생산된 시안이나 시제품을 현장에 적용 (-174-)
그때 정의했던 CSR 책임 담당자의 역량이다.
① 전략적 사고: 비즈니스 통찰력, 성과에 집중, 비판적 사고, 창의력
② 협업 : 설득력,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팀 리더십2, 관계/파트너십 구축
③ 메시징: 청중 중심, 서면 메시지, 스피킹 & 프리젠테이션
④ 기술: 프로젝트/ 프로그램 계획과 관리, 측정
⑤ 기타 :커뮤니티 개발, 영향력, 브랜드 명성, 리스크 관리, 거버넌스와 ESG,플랫폼 관리, 사내 기업가 정신 (-242-)
대한민국 사회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하면서,사람들는 서로 깨어 있는 정치참여에 의한 시민의식을 드러내는 적극성을 띄게 된다.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정치 참여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여주고,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요구하게 된다. 역할과 책임, 의무와 권리를 강조하게 되는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이런 가운데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게 된다. 즉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 대한 인식, 기후,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업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게 됨으로서, 기업은 국가와 사회의 일원으로서, 제 몫을 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ESG 가 공론화 하였으며, 세가지 핵심과제 Environmental_Environment(환경), Social (사회),Governance(거버넌스) 를 강조하게 된다. 즉 기업은 기업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환경, 사회,거버넌스의 주체로서, 정치와 사회에 동참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기업 의 ESG 경영 실무자의 역량에 전면 변화를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공헌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기업은 무엇을 제시하고, 그로 인해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서,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와 영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과정에서 비즈니스 통찰력, 성과에 집중하였고, 협업을 강조하게 된다. 고객이 비즈니스 파트너, 정부 관계자와 상생을 위한 협업을 강조하게 된다. 그 과저에서 제4차 산업 혁명으로 기술 혁신의 이동이 시작되었으며, 블록체인을 통한 탈중앙화프로토콜 경제를 통한 이익 배분, 블록체인 기반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 지원, ESG 경영 지원, 생테계를 살리는 보상체계 연결을 꾀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ESG 에 최적화된 플랫폼 경제, 플랫폼 생테계를 완성하게 되었으며, ESG와 일의 미래에 전면 변화가 불가피해진다. 그 과정에서 ESG 경영 실무자의 역량을 증시하였으며, 전략적 사고, 협업, 메시징,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역량으로 ,비즈니스 통찰력 Business Acumen, 성과에 집중 Outcomes Focus, 협업Collaboration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