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스퀘어 - 트렌드를 창조하는 ESG
오병호 지음 / 더로드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일찍부터 시민사회를 위한 정책제안과 환경봉사, 환경교육재능기부, 음악교육재능기부, 소프트웨어 교육 및 코딩 등 다양한 범주를 넘나들며 활동을 하고 있으면서 세대를 아우르는 E(환경),S(사회),G(지배구조) 생태연구 분야를 연구하는 학도입니다. (-10-)


탄소의 급증으로 지구의 온난화가 심각해져 계절구분이 희미해져 가고, 세계 곳곳에서 산불과 홍수, 우박, 태풍 ,해일,지진 등 극단적인 재난이 잇따르는 소식이 들려온다. 우리의 활동이 초래하는 기후변화를 어떤 방식으로 완화하고 우리가 꿈꾸던 지속가능한 미래에 다가갈 수 있을지 고민한다. (-94-)


재활용 페스티벌, 환경정화 활동, 물의 날 기념사업, 청소년 갯벌체험, 환경의 날 기념 백일장,사생대회 사업, 환경축제, 도량살리기 사업, 백두대간 산악봉사대 운영, 환경감시대 사업, 환경교육 사업 등에 집중하고 있다. (-183-)


우리는 살아온 배경도 나이도 신체적으로 보이는 것은 다르다. 장애인 리코더 앙상블을 통해 '함께' 할 수 있는 내면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서로 다르지만, 결국 하모니를 만들어 냈다. 음악회를 마치고 마무리하는 날, 우리느 서로에게 감사의 편지를 썼다. 필자에게 사랑이 가득 담긴 알록달록한 종이가 전해졌다. (-259-)


1980년 시장 승리주의가 대세였다. 미국 사회는 점점 사라져가는 시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에 대한 경각심으로 필란트로피가 크게 화제가 되었다. 청소년 교육과 학문을 장려한 덕분에 더욱 견고해지고 사회에 자리매김했다, (-308-)


우리 사회가 언제부터 , E,S,G를 강조하고 있었다.여기서 ESG란 환경,사회, 지배구조를 의미하며, 인공적인 미,인위적인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였던 과거의 삶에서 탈피하여, 환경과 기후를 중시하는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구현하여, 긍정적인 시민사회 구현과 공동체의식을 한 사회의 문화로 정착하겠다는 의지이다. 이런 변화는 100년 남짓 짧은 시간 안에, 대한민국 사회가 후진국형 농촌 사회국가에서, 선진국형 도시 사회 국가로 전환하면서, 국가 경제 성장을 국가의 가치의 중요 핵심 가치로 인식하면서, 기업에 특혜를 주었고, 국민은 가난한 사회적 불평등이 나타나면서, 사회 문제, 공동체 의식의 부재를 현실 속에서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로 각자에게 필요한 것을 찾아내는 것, 자본주의 사회가 강조해 왔던 기업 경영과 국가 경제 성장에서 탈피하여, 자연과 인간의 삶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산업의 전환, 인간 사회의 전환을 그 사회의 공동체 구성원이 스스로 만들어 가꾸자는 의도이다. 즉 탄소중립 사회를 선언하면서, 그동안 기업이 수익 극대화와 인명경시, 환경오염을 추구해 왔던 상황들에서 벗어나 환경을 중시하고, 기후 문젱 대해 서로 같이 고민하자는 것을 제도화하고, 법적인 구속력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 속에 우리 삶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들 속에서 우리가 요구하는 것,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문화와 전통의 변화, 더 나아가 우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나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안에서 사회의 행복의 질을 높여 나가는 것을 하나의 사회적 골자로 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