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는 호모미디어쿠스야 - 현직 기자가 들려주는 AI시대 미디어 수업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23
노진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악을 예로 들어 볼까요? 옛날에 lp판을 올려놓고 큰 스피커로 집에서 듣던 음악은 카세트테이프를 넣어 재생해 듣는 cd 플레이어로, 그리고 전자 형식의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해 듣는 MP3 플레이어를 건너 이제는 인터넷 연결만으로 실시간 재생 가능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들을 수 있게 됐습니다. (-19-)


물리적 법칙이 필요 없는 가상 공간 에서 스캇과 유저들의 아바타는 하늘을 날고 바닷속을 헤엄치며 무대를 만들어갔어요. 이 가상의 공간에서 가상의 아바타가 만들어 낸 공연으로 얻은 수익은 200억원이 넘었습니다. (-142-)


빅데이터는 다양하고 방대한 양뿐 아니라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현실에 접목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합니다. 분석을 넘어 현실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한 거예요.
구글 트렌드는 키워드 검색량을 보여 줬을 뿐 그것이 궁극적인 관심인지 부정적인 관심인지,그것이 결국 어떤 투표 해위로 이어질지는 보여 주지 못했습니다. (-182-)


1997년 나는 고등학생이었다. 영화를 보고 싶으면 극장에서 , 캠으로 찍은 화질과 비슷할 정도의 질낮은 화소의 영화 장면을 봐야 했고, 비디오 테이프를 빌려서 신작 영화를 보았다. 수능이 끝나고 난 이후, 하교 수업 시간에 비디오르 틀어서 봤던 기억이 있다. 학교에서 수능을 친 고등학생에게 한시저그로 허용되었던 영화감상 시간이었다. 핑클 노래를 테이프에 담어 늘어지도록 들었던 지난 날, 노래를 재생하는 휴대용 마이마이가 있었던 그 시절, 그 당시의 미디어 환경을 추억하게 된다.


지금 우리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하였고, 모바일을 활용하여, 유투브를 듣고, 넷플릭스로 영화를 보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지상파 방송이 시청률에 목메었던 지난낭이 까마득하게 느껴진 이유는그래서다. 24시간 미디어 방송이 가능하며, 이 책에서 보듯 20세기 미디어 환경과 21세기 미디어 환경은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생각 너머에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가상현실 메타버스 가상환경이 놓여지게 된다. 앞으로 가까운 미래, 빅데이터 환경이 우리 사회를 바꿔 놓을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미디어 환경의 다양화로 인해 ,우리 삶은 더욱 바빠지고 있다. 미디어의 성장과 성숙 너머에 소비자가 원하는 미디어 환경이 어떻게 해서 미디어 인프라, 미디어 기술을 구축해 나가는지 그 하나하나 적시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가 꿈꾸는 미래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