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투, 그리고 나와 너
핼리 본디 지음, 이주미 그림, 김선희 옮김 / 스푼북 / 2022년 1월
평점 :






#미투 운동이 시작된 건 당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영화감독 하지 와인스타인 때문이에요. <펄프 픽션>,<셰익스피어 인 러브>등 수많은 히트작을 제작한 영화계의 거물 와인스타인이 오랫동안 온갖 끔찍한 범죄에 연루된 사실이 속속 드러났지요.알리사 밀라노, 셀마 헤이엑, 기네스 팰트로, 루피타 뇽오, 마돈나 등 수많은 할리우드 여배우들이 와인스타인과 관련한 끔찍한 이야기를 하나둘씩 폭로했습니다. 애슐리 쥬드는 와인스타인의 성적인 요구를 거부하자 그가 거짓말을 퍼트려 자신의 경력에 해를 끼쳤다고 했어요. 이 모든 비리가 드러나자,와인스타인은 강간 및 성폭력 등의 범죄로 기소되었지요. (-7-)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인간관계에는 우리가 볼 수 없는 것들이 많아요. 동의,경계선, 자기 결정권, 힘의 역학 관계, 권리, 위험 신호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 인간관계를 좋게 만들 수 있고,나쁘게 만들 수도 있죠. 그래서 이런 요소들을 생각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 (-23-)
여성 비하는 누군가를 깔보고, 그 사람을 마음대로 하려고 힘으로 누르는 방식입니다. 피해자가 정말로 단정치 못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실제로 성행위를 하는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슬럿은 완전히 무의미한 단어로, 여성을 깎아내릴 목적으로 사용되지요. (-51-)
그루밍 성범죄는 끔찍한 짓이에요.이것은 피해자를 천천히 지속적으로 조종해 나아가 마침내 완전히 가해자의 통제 아래 두는 걸 말해요.때때로, 사람들은 매춘 또는 성매매와 같은 일을 하도록 그루밍당하기도 합니다. 또한 오랜 시간 그루밍을 당한 피해자는 가해자의 학대에서 벗어나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61-)
피해자는 가해자의 보복을 두려워한다.
피해자는 경찰이 문제를 제대로 처리해 주거나 자신의 안전을 보호해 주리라고 믿지 않는다.
피해자는 자기가 겪은 일이 세상에 알릴 정도로 '그렇게 나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피햊다는 사람들이 자기 말을 믿어 줄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
피해자는 그게 학대라는 걸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가해자의 피해자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피해자는 모든 게 자기 잘못이라고 느낀다.
피해자는 문제를 일으키고 싶어 하지 않는다. (-105-)
2017년 서구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은 메릴 스트립이 극찬했던 미국의 거물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타인에 의해 시작된 ,해외의 여배우를 상대로 한 성추문에서 시작된다. 영화 제작자에 의해서, 여배우를 영화에 출연시킬 수 있는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과정에서, 수많은 이해관계가 영화 제작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영화 제작자에 비해, 을의 위치에 있었던 서구의 유명 헐리우드 여배우는 영화제작자의 강제 요구를 거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으이, 자기결정권 없이 관행적으로 성추문이 시작된다.
영화제작자는 자신의 힘을 악용하였고, 피해자는 자신이 피해자임에도,그 피해사실을 말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모순은 영화일선에서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투를 폭로하고 싶어도, 폭로하는 순간, 자신이 출연하기로 예정되었던 영화 출연에서 배제되고, 스타로서의 이미지도 한순간에 추락하기 때문이다.그 대표적인 사례가 기네스 팰트로우였다. 영화배우로서 최전성기였던 2017년, 미투 운동이 발생하였고, 그녀의 사진과 동영상이 폭로되는 순간 많은 것을 잃어버리게 된다.자신의 기본 권리,동의, 거리두기, 경계하기, 자기결정권을 내세우고 싶어도 말할 수 없는 구조적인 모순이 미투 운동의 근원지이기도 하다. 그 당시 미투 운동은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지난 날, 우리 앞에 놓쳐진 여러가지 문제들을 보면,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으며, 앞으로 어떤 상황이 나타나는지 알게 된다.
여성이나 아동 ,성소수자가 느꼈던 성폭력, 아동 성폭력, 성희롱,성학대, 그룸빙, 학교 내 성희롱, 학교 관련 젠더 폭력, 디지털 (온라인) 성범죄가 발생할 때, 즉각 상담을 받거나 긴급 조치, 후속 지원, 형사소송이나 민사소송의 길이 막히게 된다. 내부고발자가 되는 순간, 자신의 권리를 잃어버리고, 내부고발자로서, 미디어에 노출될 수 있다. 디지털 성범죄의 대표적인 사례, 조주빈이 운영하였던 '박사방','소라넷' 과 같은 범죄가 발생할 때,그 순간 피해자가 바로 노출되고, 관심과 흥미로 인해 사회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자신의 권리를 스스로 포기하게 되는 최악의 나쁜 사례가 발생하게 되며,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풀지 못하고, 극단적인 상황을 보여줄 때도 있다.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본다면,우리 앞에 놓여진 미투 운동이 왜 발생하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조목 조목 파악할 수 있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