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PA 레볼루션 -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의 핵심 트리거
김인수 지음 / 라온북 / 2022년 1월
평점 :

유연근무제로 대응하다.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19를 빼놓고 2021년 이후의 미래를 생각할 수 없다. 그 누구도 포스트코로나를 이야기하면서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코로나 19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근무 환경과 업무 방식을 강제적으로 경험하게 만들었다. (-19-)
직원이 RPA 개념을 함께 익히고 기존의 업무를 개선하거나 표준화할 부분이 있는지 다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자동화가 포함되고 RPA 로봇의 역할이 정의되는 것이다. 지금 하는 일을 똑같이 모방하는 것은 RPA의 역량을 너무 적게 사용하는 것이다. (_64-)
로봇의 수행오류가 높아서 실행결과를 믿지 못하면 자동화한 업무는 다시 사람이 해야 한다. 그래서 RPA 스크립트를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오류 없이 인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139-)
RPA 내재화에 대한 방침이 개인이 RPA 를 직접 개발해 사용하는 것이라면, RPA 개인화는 직원이 RPA 를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정기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교육을 이수한 직원이 RPA를 얼마나 활용했는지 확인한다. (-189-)
실행 : 선택한 태스크 하나만 실행
프로세스 실행 : 프로세스 전체 실행
디버그 : 선택한 태스크 하나만 디버그 모드로 실행, 디버그 모드는 스크립트를 한 댄계씩 실행해 잘못된 부분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프로세스 디버그: 프로세스 전체를 디버그 모드로 실행 (-224-)
이 책에서 다루는 RPA란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자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의미한다. 그건 인간이 하면, 1시간 걸린다면,RPA 로봇은 10분에 처리하는 수준의 효율성을 지니고 있다.반복되는 작업이거나, 패턴이 비슷한 작업을 자동화하면, 일의 능률을 높여 나갈 수 있고, 기업은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로 인해 많은 이익을 얻게 되고, 수많은 기업들이 RPA 로봇을 전면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과 공공기업에서 RPA 로봇을 도입한다면, 엑셀 작업, 문서 작업을 하는 직종이 제일 먼저 RPA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 더군다나 RPA 로봇은 24시간 작업이 가능하다. 하루 24시간 일하는 로봇과 하루 8시간 남짓 일하는 인간은 서로 경쟁이 될 수 없는 문제이며, 가까운 미래에 사무직 업종이 RPA 로봇으로 대체될 거라는 것은 허언이 아닌 현실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PA 로봇의 수행오류가 반복된다면, 대체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즉 문제는 발생하지만, RPA 솔루션, RPA 프로세스,RPA 로봇, RPA 시장이 제대로 되어야 RPA 로봇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다. 여기에는 RPA 스크립트가 제대로 된 작업이 될수 있을 때,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낸다. 이 책을 본다면, 기업에서 어떻게 RPA 로봇을 도입하여, 기업 전반에 도입 실행하는지 차곡차곡 이해한다면, 인간이 해왔던 것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RPA 아키텍처가 만들어질 수 있다. RPA 전략 수립에 있어서, 확장 -> 도입 ->운영으로 이어지고, 관리와 평가가 선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ICT 디지털 트렌스포메니션에 재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RPA 로봇을 구축하기 위한 툴을 찾아내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