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소사이어티 AI Society - 스마트 인류가 사는 세상,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김태헌.이벌찬 지음 / 미래의창 / 2022년 1월
평점 :
나의 지나간 하루를 곱씹어보니 과거와는 분명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었다.
혼자 있었는데도 끊임없이 무언가와 연결됐다.
다양한 자극을 받았지만 거슬리는 자극은 적었다.
많은 결정을 했지만 스스로 결정한 것은 거의 없었다.
이런 사실들이 의미하는 반은 분명했다.
AI가 끊임없이 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었다.
AI 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나에게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했다.
나는 어느새 인강의 한계를 인정하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AI를 믿고 의지하게 됐다. (-22-)
연결
인간이 물건, 동물과도 긴밀하게 연결된 사회,AI는 물건과 동물에게 인간과 소통이 가능한 '입출력단자'를 달아주었다. 덕분에 AI 소사이어티에서 인간은 손쉽게 강아지의 말을 알아듣고, 벽난로와 대화할 수 있다.
협업
기계와 인간의 일을 분담하는 사회. aI를 장착해 똑똑해진 기계는 인간과 동등하게 일터에서 일하고,'인간동료'로부터 인정과 신뢰를 얻고 있다.바둑 등 일부 영역에서는 기계가 인간의 스승이 되기도 한다.
확장
우리가 알던 세상이 범위를 확장한 사회.가상 세계 구축의 가장 중요한 도구인 AI는 우리 사회를 무한하게 확장했다. 이제 우리는 AI 가 만든 가상 인간과 메타버스에서 만나 우정을 쌓고, AI가 구현한 '디지털트윈 도시'에서 도시개발 실험을 한다. (-81-)
이처럼 GAN은 위조지폐범에 해당하는 생성자 Generator 와 경찰에 해당되는 구분자 Discriminator 를 결쟁적으로 학습시킨다. 생성자의 목적은 그럴듯한 가짜 데이터를 만들어서 구분자를 속이는 것이며,구분자의 목적은 생성자가 만든 가짜 데이터와 진짜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 둘을 함께 학습시키면서 진짜와 구분할 수 없는 가짜을 만들어내는 생성자를 얻을 수 있다.이것이 gan의 핵심 아이디어인 '적대적 학습'이다. (-197-)
<무자비한 알고리즘>의 저자이자 독일 카이저슬라오테른공과대학교의 교수인 카타리나 츠바이크는 잘못된 편향이 AI 에 주입되는 주요 원인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정리했다.
데이터 안에 명시적 혹은 암시적 차별이 포함돼 있을 때
데이터가 불균형일 때(전체 데이터가 부족할 때)
데이터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누락됐을 때
AI 알고리즘이 서로 다른 맥락을 구별할 수 없을 때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제(필터링)하지 못하는 상황일 때
츠바이크 교수는 AI의 편향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공평성' 과 '공정성'이라는 양립할 수 없는 두 개념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주장한다. (-256-)
AI 소사이어티 라 하면, 무언가 이질적이고, 낯설게 생각되어진다. AI 소사이어티 이전을 우리는 INFORMATION 소사이어티라고 한다. 즉 정보화 사회 다음이 AI 소사이어티이며, 현재의 우리 사회의 전면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 컴퓨터 사회로 전환되면서,우리 사회는 많은 것을 가능한 사회로 바꿔 놓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불확실하고, 부퍠되어지고, 부정적인 사회로 고착화되고 있으며, 대중들의 요구는 점차 커져가고 있다.기술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보화사회가 안고 있는 뱅점을 AI 소사이어티 가 되는 시점에 해결하고자 하는 목표의식이 뚜렷하다.
즉 세상은 달라지고 있다. 불가능이 가능으로 바뀌는 대표적인 변화로, 과거에 비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오류와 리스크가 어느정도 보완될 것이다.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고, 인간이 인간에게 도제식으로 교육을 해왔던 절차가 이제 기계가 인간에게 도제식 교육을 할 개연성이 커져가고 있으며, 실제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치를 얻게 된다. 즉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는 것으로,인간 사회의 전면적인 변화 속에 자동화가 있으며, 인간이 안고 있는 리스크, 위험성을 어느정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그동안 해왔던 3D 업종,위험하고 , 생경하고, 생명을 잃을 수 있는 환경이나 조건을 가진 일자리에 로봇AI가 투입될 개연성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 앞으로 우리 사회는 감시사회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미래에 인간의 일자리,노동은 점차 새로운 전화점읊 맞이하게 된다. 즉 자본을 얻으려면 반드시 노동이 필요하다는 현재의 인간의 인식의 전면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그 중심에 AI 소사이어티가 현재한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