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인 러브
레이철 기브니 지음, 황금진 옮김 / 해냄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280-1.jpg


레이철 기브니의 <제인 인 러부>에서 제인이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국 작가 제인 오스틴이다. 실제 국내에는 그녀의 작품을 <제인오스틴 캐스키드슨 전집<으로 출간한 바 있다. 영화와 소설로 널리 알려진 오만과 편견, 이성과 감성 , 엠마, 설득, 노생거 수도원, 레이디 수전, 맨스필드 파크가 있다. 일평생 독신으로 살아온 그녀는 여성에게 진취적이고,독립적인 삶의 출발점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제인오스틴 클럽이 생겨날 정도로 ,루시모드 몽고메리와 함께 여성 독자들에게 인기 있는 작가이다. 레이처 기브니의 <제인인러브>는 제인오스틴 덕후라 할 수 있는 레이철기브니 특유의 문학이 느껴지고 있었으며, 소설 속 감춰진 비밀을 하나 둘 채워나가고 있다.

0280-2.jpg


소설 <제인인러브>을 타임슬립 소설이라 한다. 타임슬립 소설이란 두개의 시간을 연결하는 독특한 형태의 소설이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소설은 하나의 시간 흐름만 간직하는 반면, 타임슬립 소설는 두개 이상의 시간을 소설의 스토리 전개에 도구로 쓰여지고 있다. 소설 속 <제인인 러브> 속 조인공 제인 오스틴은 1803년과 2020년 두개의 시간 공간이 존재하고 있으며 , 1803년 스물 여덟살 작가 제인 오스틴은 2020년으로 시간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0280-3.jpg


소설은 매우 독특하고, 흥미롭다. 실존 인물 제인오스틴은 평생 혼자 살았고, 40대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 이 소설을 우편마차가 있으며, 깃털 연필로 글을 써왔던 1803년, 제인오스틴이 , 2020년으로 시간이동을 하면서, 야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드라마, 영극 공연 관련 일을 하는 소피아는 제인오스틴의 <노생거 수도원.을 원작으로 하는 공연을 기획하게 되는데, 실존 인물이 영화 속 주인공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제인은 소피아의 남동생, 프레드와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만다.

0280-4.jpg


소설 속에서 제인오스틴은 이 소설 속에서 낯설은 환경을 즐기고 있었다.자신에겐 현재의 자신이 즐겨 썼던 생활용품이지만, 그것이 21세기에 오니, 특별한 가치로 전시되고 있는 것이 신기하였다. 현대 문물 에스컬레이터를 타면서,느끼는 공포심리를 19세기 제인오스틴의 시점에서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은 이 소설이 작가의 의도를 깊이 내포하는 이유를 잘 드러나고 있다. 제인오스틴 덕후라면, 제인오스팀이 살앗던 그 시절의 숨어있는 비하인드, 미스터리를 알고 싶을 것이다. 즉 처음 연기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던 제인오스틴이, 19세기 살아있는 제인오스틴이라는 걸 알게 된 소피아는 제인오스틴의 정체를 숨기려 하게 된다. 공연 <노생거 수도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칫 혼란이 올 수 있는 상황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낯선 문물과 과학, 문명에 적응해 나가는 제인오스팀의 모습과 소피아의  대화를 보면, 이질적으로 느껴지지 않으며, 200년간의 시간의 차이를 전혀 느낄 수 없도록 작가의 치밀한 스토리 전개가 돋보이고 있다. 이 타임슬립 소설을 읽으면서, 가난한 화가였던 빈센트 반 고흐, 일평생 그림 한 점 팔았던 반고흐를 현대로 불러온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 까 상상하게 되면서, 500페이지 두꺼운 소설 <제인 인 러브>즐거움과 행복을 마무리 짓고 싶다.

리뷰어스배너2.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