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지능 시대의 건축 - 주제와 변주
김성아 지음 / CIR(씨아이알) / 2021년 12월
평점 :
건축가의 심상에 존재하는 건물은 천의무봉의 가상 건축이다. 작어도 심상 속의 건물에는 현실적인 오차나 부정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설계하고자 하는 대상 건물의 멘털 트윈으로서, 추상적인 관념에서 구체적인 건물의 모습으로 진화한다. 설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를 외재화하는 표현물은 멘털 트윈과 같이 진화하는데 그것은 스케치, 목업 모델, 디지털 모델 드으이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한다. (-95-)
건축이 가성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은 건축가가 아닌 누구나 건축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빛과 매스로 빚어진 시가 아니라 디지털 자산과 연결성으로 이뤄진 전혀 다른 건축이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을 하고 세계관을 창조하는 전무가가 극소수인 것처럼, 상상력 충만하고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전문가는 결국 재능있고 제대로 교육받은 건축가이다. (-142-)
건축사 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현재 등록 건축사의 60% 이상이 1년에 단 한 건의 수주밖에 못하고 있다. 설계 요율은 20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고 건축학과 졸업생은 설계회사를 기피하고 있다. 5년간의 치열한 대학교육을 마치고 설계회사에 입사하지만, 여전히 야근과 철야를 피할 수 없는 환경에 이내 회의를 느낀다. (-197-)
역설적으로 가상성은 치밀한 구체성과 물리적 정교함에서 나온다. 적절한 거짓말을 섞지 않으면 진실처럼 보이지 않듯이 너무 완벽하면 실제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매체의 차원이 증가하고 리얼리티가 커질수록 그것은 노이즈가 스며있는 현실이 아니라 대체 현실을 만든다. (-221-)
건축가는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새로운 환경에서도 사람들의 꿈을 들어주고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건축설계의 많은 부분이 AI 에 의해 대체될 수 있지만 결국 의뢰인의 고충을 인간적으로 이해하고 인간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은 인간 건축가이다. (-236-)
인간의 상상 속에 인공지능은 인간이 했던 일을 대체하는 개념이며, 힘이 더 세고, 인간보다 더 빠르게 계산하고, 더 많은 일을 할 거라는 막연한 공상과 상상에 불과했다. 단순히 편리해지고 , 일과 노동에 대해 어느 정도 자유로워질거라고 생각했지, 인간의 노동을 전면 교체될거라고는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실제 속의 인공지능이 있다.그러나 이제 앞으로 조만간 인공지능은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우리의 삶을 차곡 차곡 파고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인간이 강조했던 전문가라는 개념, 전문가의 가치가 하향 조정될 개연성이 그다. 그로 인해 우리는 많은 것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변화 속에 여러가지 조건을 생각하게 되며, 기술이 인간이 삶에 어떤 변화를 야기하는지 깊은 고민에 빠져들게 되고, 건축의 전면적인 변화를 감정받거나 평가받게 된다.
이 책은 인공지능이 단순히 판사,검사, 노동자의 일을 빼앗는 걸 넘어서서 산업 전반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먼저 건축 설계 및 구조 설계 전반에 인공지능 시스템이 적용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건축 설계 시공 전반에 오차를 줄이고, 오율을 낮출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개연성이 있으며, 인공지능 시대에 건축의 전면 개편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분야가 있었으니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인간미, 심미성이다. 즉 기계는, 건축분야의 AI기술은 감동을 주지 못한다. 하지만 인간은 인간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주체가 된다. 인간의 상상력을 십분 발휘하면, 건축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며, 지금보다 더 디테일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런 상황이 된다면, 건축기술을 배우지 않더라도, 건물을 지을 수 있고, 인간이 할 역할은 바뀔 수 있다. 지금 우리가 자동차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자동차를 만들 수 있고, 자동차 회사가 아니더라도, 자동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처럼 앞으로 미래에는 건축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