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녁 식탁에서 지구를 생각하다 - 건강하고·공평하고·지속가능하고·정의롭게 먹는다는 것
제시카 판조 지음, 김희주 옮김 / 사람in / 2021년 12월
평점 :





동티모르는 100만여 명의 인구 중 4분의 1이 영양부족이다. 5세 이하 아동 중 50퍼센트가 발육부진이며 38퍼센트가 체중미달이다. 동티모르는 추수한 쌀과 옥수수가 떨어진 뒤 다음 수확을 기다리는 매년 1월과 2월에 계절적 기아가 발생한다. 이 시기에는 동티모르 인구의 절반이 겨우 한끼 식사로 하루를 버틴다. (-36-)
이런 변화와 더불어 농사를 짓기 위한 삼림개간이 가속화되면서 인류세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가 일어났다. 바로 1970년 이래 지구상 포유류와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설퓨의 종 수가 평균 60퍼센트나 강소한 대량 멸종 사건이다. 현재 (동물사육을 포함해) 농럽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전체 온실가스의 11~24 퍼센트를 차지한다. (-93-)
무역정책은 개인적인 빈곤과 전혀 다른 차원에서 경제와 영양에 모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세계화로 무역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인구가 밀집한 도시에서 구할 수 있는 고품질 식품이 점점 더 다양해지는 추세다. 하지만 소득 불평등의 심화,'열량만 높고 영양가는 없는'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는 싸고 건가엥 나쁜 식품이 점점 더 늘어나는 문제도 다 무역과 관계가 있다. 무역 덕분에 세계 식량공급이 다양해졌지만, 그 파급 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소비자의 식단을 넘어선다. (-155-)
미국의 트랜스지방 퇴출 조치는 과학이 지역정책에 정보를 전달하고 지역정책이 다시 국가 정책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아주 잘 보여주는 사레다. 민간부문이 식품 생산방식을 기꺼이 바꾸려는 마음도 있었지만, 트랜스지방을 비교적 어렵지 않게 다른 원료로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도 큰 몫을 했다. (-249-)
세계푸드시스템이 무너지는 재앙을 막으려면 긴급상황에서 모든 선원을 갑판으로 소집하는 것과 같은 총동원 접근법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그리고 시스템 수준에서 모두 담대하게 나서야 한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문제가 곪아 터질 때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다. (-304-)
대한민국은 식량이 남아서 창고에서 썪고 있다.하지만, 아메리카 대륙의 아이티는 가난에 허덕이고 있으며, 내전 속에서 기아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면, 1년전 수확했던 쌀이 정부가 수매하여, 묵은 쌀로 바뀌어 떡을 해먹는 현실과 대조해 볼 때, 상당히 이질적인 느낌이 들 때가 있다. 패스트푸드를 즐겨먹고, 쌀을 줄이는 현 대한민국 음식 푸드 시스템에 대해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고혈압,고지혈증이 증가하는 현상태를 볼 때, 혀를 끌끌차는 세대가 베이비붐 세대이다. 어려서부터 춘궁기를 겪어온 세대는 배고픔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심리가 있다.그래서 매정하고 이리적인 대한민국 사회 문화 저변에 밥에 대한 정은 상대적으로 관대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러한 현실과 비추어보면서, 이 책을 읽으면, 우리 지구촌의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현줏호를 알 수 있다. 전세계 확인된 식물종 391,000종 중에서 5,538종만 인류가 개량하여, 식량자원으로 쓰고 있다.나머지는 단순히 식물의 형태이거나 잡초로 남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앞으로 이 종의 다양성조차 축소되고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삼림자원을 훼손하는 세계경제의 인간 중심주의 사고방식이 결국 지구의 생테계를 무너뜨리는 원이이 되고 있다. 쌀과 밀, 보리, 옥수수로 대표되는 대표적인 작물이 전세계 식량자원의 50퍼센트가 된다는 것은 ,인류 전체로 볼 때 다행이 아닌 불행이 될 여지가 있다. 그건 인류가 지금껏 해왔던 환경파괴가 기후 변화를 조장하고 있으며, 과일이나 작물의 식물 분포도 지도가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그건 지금 우리가 즐겨 먹는 쌀의 생산에 대해서,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곳으로 재배되지 않으란 법이 없다. 즉 식량 자원이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인류의 기아 현상이 나타날 개연성도 충분하다.역사적으로 해충을 쫒기 위해서, 참새를 박멸했던 마오쩌뚱의 결단이 중국인민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듯,이러한 현상은 중국 한 지역이 아닌 다른 나라로 확산될 여지가 매우 충분하기 때문에, 식량 위기 대응 지침과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