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한 데이터 분석 - 데이터가 말하는 트렌드
나이스지니데이타 지음 / 이콘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팅이나 신제품개발 담당자부터 데이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를 업무를 처리하고 개선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데이터 3법 시행 이후에 등ㄷ장한 '마이데이터' 제도는 고객이 , 즉 정보의 주체가 본인의 정보를 관리하고, 통제하고, 활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왔다. 즉, 데이터를 만들고  정리하고 쓰는 '호모 데이터쿠스' 로 인류가 진화하게 된 것이다. (-5-)


죠크박은 아이스크림계의 대표적인 스테디셀러인 죠스바, 스크류바, 수박바를 적절히 섞어놓으며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한 제품이었다. 게다가 만우절 한정판 으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번이 아니면 다시 경험하기 힘들 것 같은 희소성까지 더해져 나쁘지 않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2020년 4월 14일에 올라온 아시아경제 기사에 따르면 죠크박은 출시 1주일 만에 준비된 수량이 모두 판매되어 추가 생산에 들어가자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72-)


편의점에서 많이 팔리는 라면을 예로 들어보자 .우선 라면은 제조사 (농심, 삼양,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등), 용기 (컵라면, 봉지라면),맵기의 정도(아주 매우맛, 매운맛,순한맛),제품의 특성 (소고기, 해물, 닭육수, 마라맛 등)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가 선행되어야 소비자 기호 변화의 트렌드를 찾아내거나 고객 프로파일(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등)에 따른 소비특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132-)


(2016년) 민원분석,CCTV 사걱지대, 버스노선분석, 관광 축제 효과분석 등 6개 분야
(2017년) 지방세 체납, 일자리미스매칭, 소방차, 구급차 골든타임 등 10개 분야
(2018년) 주차난 완화방안 ,생활인구, 공공 와이파이 설치, 전기차 충전소 위치 등 7개 분야
(2019년) 최적 대피소, 장애인 노약자 무료셔틀, 무인민원발급기 등 5개 분야.
(2020년) 어린이 교통안전,국공유지 무단점유지분석 등 5개 분야(-187-)


2020년 1월 데이터 3법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 공공 데이터를 기업과 정부,공공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루트가 만들어졌다. 데이터 3법 통과로 인해 고객의 데이터가 기업의 비즈니스 사업의 기본 데이터로서 활용하게 되고, 홍보, 마케팅, 사업 전반에 쓰여지게 된다. 자영업자는 데이터를 활용하면,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며, 고객이 원하는 니즈와 원츠를 파악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기업이나 자영업자는 제품의 재고를 줄이고, 효율을 높여나갈 수 있다. 빅데이터 산업이 더 크게 확장될 수 있는 루트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책에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빅데이터가 어떻게 쓰여지는지 소개하고 있는데,소비자의 생활 편의를 도모하고, 생활을 개선하는데 쓰여진다. 우리가 내는 세금이 예산으로 적제적소에 쓰여지고, 사업과 미스매칭이 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즉 복지 사각지대의 틈을 메우는 것 , 새로운 비즈니스 사업을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어떤 일을 하던지 , 통계와 데이터에 근거한 추측과 예측이 가능하며,우리의 삶의 질은 더 나아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관련 일자리 확보다. 데이터 운영자, 데이터 관리자,데이터 과학자로 크게 분류하고 있으며, 데이터로 시장점유율을 간파하고, 판매데이터 분석이 용이하다. 슬로건, 마케팅에 있어서 표적광고가 가능하며, 데이터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여러 사건이나 문제들의 인과관계,상관관계를 분석하게 된다. 빅데이터르 활용하느 스타트업으로 대표하는 넷플릭스, 왓챠, 유투브, 페이스북이 빅데이터 산업을 활용하여,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가공을 거쳐 필욯나 비즈니스와 연결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적재적소에 찾아내, 매출 증대와 수익증대를 꾀하는 것,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우리 삶과 연결할 수 있는지 찾아내는 것이 왜 중요한지, 소비자의 트렌드 변화까지 수치화할 수 있으며, 트렌드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현실이 된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