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EBS 공인중개사 기본서 1차 부동산학개론 2022 EBS 공인중개사 기본서
이종호 지음 / 랜드하나 / 202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

 

 

 

 
대한민국에서 회사에 다니거나, 취업을 하거나 ,공공기관에서 일을 하고 싶을 때, 사업을 할 때, 그 사업에 준하는 자격증 시험이 있다. 사회에서 복지업무를 하라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요구하며, 요양보호사 관련 일을 하려면 ,요양보호사 관련 자격증을 우선 따는 것이 먼저다. 다른 기술직도 마찬가지다. 물론 부동산 관련 일을 하거나 업무를 해야 할 때, 부동산 중개소를 차리려면,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최근 주택관리사도 트렌드에 말맞춰 호응도가 높은 편이다. 부동산 관련 민법, 민사법, 세법과 공법, 공시법을 습득하고, 일을 시작하게 된다. 2021년도 거의 저물어 가고 있으며, 2022년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공인중개사는 제1차 시험과 제2차 시험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총 시험과목을 다섯과목으로 , 과목당 40문항,객관식 5지선다형으로서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시험을 치게 되다. 시험을 칠 때, 각 과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험의 요령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공인중개사 1차 시험이면서, 1교시 시험으로 부동산학개론이 있으며, 부동산학 개론의 시험범위로 부동산학개론과 부동산 감정평가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이번 과목은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더 나아가 법률적인 측면과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분류하고, 주거용과 상업용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즉 부동산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자연, 위치,공간,환경을 먼저 이해하고,그 안에 부동산이라 부를 수 있는 물리적인 개념과 경제적 개념, 법률적 개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토지 및 그 정착물'에 해당되고 있었다. 이 과목은 왜 우리가 부동산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부동산의 광의적인 측면을 들여다 보고, 부동산 수요이론을 만드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사전적 개념 뿐만 아니라 수요함수와 수요법칙, 기회비용, 수요량의 변화와 흐름을 깨우칠 때, 부동산의 가치와 의미를 받아들일 수 있고,비로소 부동산을 중개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된다. 더군다나 이 파트에서는 부동산시장론,부동산정책, 부동산투자론,부동산금융론,부동산개발, 관리론,마케팅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부동산감정 평가론에서는 실제 부동산을 어떻게 감정평가하고, 감정 평가의 분류와 시장 가치 기준의 원칙까지 포괄하며, 예외 조건과 특별 조건을 동시에 다루고 있다. 부동산학 개론은 부동산 공인중개사가 할 일의 기본이자 기초, 개념 숙지이며,민법, 공법,공시법,세법으로 이어지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동시에 진행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