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움직이는 피드백의 힘
리처드 윌리엄스 지음, 고원 옮김 / 글로벌브릿지 / 202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군가 여러분에게 비판만 하거나 빈정거린다면,여러분은 얼마나 더 열심히 일하게 될까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또다시 스콧이 손을 들었다. 이번에는 잘 보이라고 좀 더 높이 들었다. (-21-)


1.계획을 짠다.
2.명확하게 한다.
3.행동에 집중한다.
4.시간과 공간을 배려한다.
5.균형을 유지한다.
6.침착하게 한다.
7.효과적인 기술을 익힌다.
8.효과적인 스타일을 개발한다.
9.느낌을 표현한다
10.경청한다. (-42-)


피드백 통의 구멍을 메우는 방법

1.지적 능력향상
2.양질의 피드백 제공
3.성과에 대한 칭찬과 인정
4.업적 축하하기
5.의사결정권 위임 (-74-)


"부정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면 악순환만 계속될 뿐이에요."

"그게 바로 제 문제였던 거죠.
하면 할수록 비판할 만한 것을 더 많이 찾아냈거든요. 하지만 교육을 받은 후로는 부정적인 것에만 신경 쓰지 않도록 애썼고 한편으로 기회가 될 때마다 아내의 피드백 통을 채우려는 노력도 했습니다."(-124-)


지지적 피드백의 4단계

1.구체적인 행동을 설명한다.
2.행동의 결과를 설명한다
3.행동에 대해서 어떻게 느꼈는지 설명한다.
4.왜 그렇게 느꼈는지 설명한다. (-162-)


행동을 변화시키는 5단계

1.우선 지지적 피드백을 사용한다.
2.유도적 질문법을 사용한다.
3.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4.적절한 규율을 사용한다.
5.한계선을 긋는다. (-183-)


피드백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선'과 '변화'에 있다. 제 아무리 뛰어난 피드백이라 할지라도 상대방을 움직이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피드백은 멋이 아니다. 권위를 애세우기 위함도 아니다. 누군가를 비판함으로써 쾌감을 얻고자 함도 아니다. (-242-)


책에는 피드백의 종류를 제가지 소개하고 있다. 첫번째 지지적 피드백 support feedback이다.이 피드백은 긍정과 공감, 소통을 위한 피드백이며,무기력한 사람에게 지지적 피드백을 통해 에너지,힘을 얻기 위한 과정을 거쳐가게 되다. 두번째 교정적 피드백 corrective feedback이다. 이 피드백의 목적은 교정과 교열, 개선이다. 나의 경우 스포츠 취미가 마라톤인데,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자세와 발걸음, 그리고 태도까지 피드백이 필요하다. 무리한 에너지 손실이 스피드를 저해하고, 에너지가 금방 고갈되기 때문에, 고수의 피드백을 통해, 바로 잡아주는 것이 요구된다. 피드백의 궁극적인 이유와 일치하고 있다. 변화와 개선이다. 세번째는 학대적 피드백 abusive feedback이다. 이 피드백은 우리가 가장 왜곡하고,잘못 생각하는 피드백이다. 일상에서 흔한 잔소리가 학대적 피드백의 일반화이며, 집적하고, 평가하고, 비평하게 된다. 그럴 경우 피드백의 궁극적인 목적 변화와 개선을 완성하지 못하고, 피드백의 효용성이 반감되는 이유가 나타나게 된다. 네번째 무의미한 피드백 insignificant feedback 이다. 이 피드백은 학대적 피드백보다 더 학대적인 피드백임벼, 타성과 나태함 ,권태로움의 원인이 되고 있다.결과나 성과를 내는데 있어서 악영향을 주는 피드백이며, 사람을 황폐하게 만들어 놓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피드백을 안 하는게 더 효과적인 피드백이다.


우리는 나 자신을 볼 수 없는 한계,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다.그래서 피드백을 요하고 있으며,누군가의 칭잔이나, 지지,응원을 필요로 할 때가 있다.피드백의 주체인 경우나 , 보조자인 경우에,피드백은 어떤 형태여야 하는지 고민하지 않고 진행한다면, 피드백이 왜 필요한지 잃어버리고, 방향성을 놓처버릴 수 있다. 신뢰와 이해 없이 시작된 피드백이 우리의 문제적 피드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게 나타나고 있다.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상호관계의 근원이 되는 피드백,그 피드백의 근본에는 모든 대인관계의 근원이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긍정적인 피드백, 지지적 피드백의 목적이면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