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2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2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콕 생활의 일상화'로 가장 큰 특수를 누린 곳은 홈인테리어 업계다.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진 소비자들은 집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그중에서도 정형화된 공간을 손쉽게 분리하여 면적 활용도를 높여줄 수 있는 가벽의 인기가 단연 높았다. (-55-)


'전기자동차;는 환경을 고려하면서 혁신도 추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트렌드가 됐고, '디자인 가전'은 가전이 더 이상 실용적 상품이 아닌 심미적 제품임을 증명하며 전에 없던 호응을 얻고 있다.소규모 생산자가 맛과 패키징에 독특함을 더한 다양한 '수제맥주'들이나 식감도 좋고 제철마다 즐길 수 있는 '이색 농산물'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143-)


득템력은 세 가지 전략이 있다. 우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줄 서고 기다리는 것이다. 매장 오픈 정부터 기다리는 오픈런을 마다하지 않고 밤샘 줄서기에 텐트가 동원되기까지 한다. 다음은 '운'으로 쟁취하는 전략이다. 수랭이 한정된 제품에 대해 '구매 자격'을 추첨으로 선정하는 그래프에 수많은 사람들이 몰린다. 마지막 전략은 득템하고 싶다는 간절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브랜드에서 원하는 구매 금액을 채우고, 브랜드가 요청하는 드레스코드도 맞춘다. 매장 직원을 내 편으로 만들어 기회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221-)


세대담론을 촉발했던 X세대가 이제 사회의 중추가 됐다. 그들도 이제 기성세대로 불리고 있다.그렇다면 X세대가 기성세대로 자리잡은 시장은 베이비부머가 기성세대였던 시장과 어떻게 다를까? 이들이 소비자로서 만들어가는 시장의 특징과 변화된 소비 지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2022년에 갖는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309-)


내러티브가 기업과 경제의 가치평가에 적극 반영되는 시장이 만들어지고 있다.기업이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과거의 성적은 물론이고 앞으로 성장했을 때의 미래 가치까지 핵심 지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제 비즈니스 내러티브 전략의 구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411-)


2016년부터 지금까지 김남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시리즈를 읽게 되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소비 트렌드는 그 해의 소비자들은 무엇을 소비하고,그 소비되는 것에 대한 입소문이 될 수 있으며, 미래 예측이며, 비즈니스 시장을 향하고 있다.그 때의 트렌드를 알면, 사회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고, 소비의 주체의 변화도 눈짐작하게 된다. 과거 누가 죽었는지에 따라서, 2022년 소비에 주제가 달라질 수 있고, 문화적 트렌드에 무엇이 반영되는지에 따라 변화와 예측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사회에서 은퇴 연령은 50대~60대 언저리에 결정나게 된다. 그래서 2022년 사회 은퇴의 주축은 베이비부머가 되었고, 1990년대 10대 청소년이었던 X세대가 지금 40540 세대가 되어, 수비의 주축, 트렌드의 변화의 추축이 되고 있다. 소위 영포티 세대가 대한민국 사회의 변화의 구심점이 되고 , 결정과 파단의 기준이 되는 현상황이다. 그들의 경험과 문화적 향유 수준이 소비를 결정하고 지갑을 여는 우선순위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이 책은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영포티 세대의 소비 트렌드 변화를 읽고,그들을 중심으로 베이비부머의 소비 트렌드,문화트렌드를 읽어 나가고 분석하고 있었다.즉 홈족이 늘어나면서, 우리는 집에서 만족도를 높여나가고, 그 안에서 효율성을 키워나가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을 영포티 세대 다음 세대인 MZ세대에게 고스란히 적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세대가 가지고 있는 소비, 문화, 정치, 경제에 대한 시선들이 소비의 변화에 내제되어 있다. 2022년 사회적 환경의 변화,인간관계의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트렌드도 그에 발맞춰서 , 소비 트렌드의 주도권을 쥣게 되며, 2019년 경험했던 일상으로 회복되는 그 시점이 어디인지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그리고 결정적인 소비 트렌드 변화에서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은 두번의 선거와 굵직굵직한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 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