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택트 교육의 미래 - 왜 기술만으로 교실을 변화시킬 수 없을까
저스틴 라이크 지음, 안기순 옮김, 구본권 감수 / 문예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7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7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7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7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82.jpg)
기술의 힘을 신봉하는 이들에 의해 원격학습, 무크 MOOC, 디지털 교과서, 코딩교육, 거꾸로 교실 등 디지털 기술을 교육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어디까지나 먼 나라와 일부의 실헌일 뿐이었다. (-6-)
개별 강좌를 수료하는 학생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수료증의 가치가 의심스러운 상황을 맞이한 MOOC 제공자들은 개별 강좌에서 더욱 포괄적인 프로그램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최초로 이러한 행보를 보인 유다시티는 조지아공과대학과 AT &T 와 협력 관계를 맺고, 최초의 MOOC 기반 학위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공학 온라인 석사과정을 신설했다. (-53-)
우리 사회에는 두 가지 목적틀 달성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체 인구가 읽기, 쓰기, 셈, 시민생활, 과학 활용 지식, 의사 소통 분야에서 근본적인 기술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사회는 이러한 영역에서 학습자 전체가 숙달을 향해 발전해나가도록 도와야 한다. (-141-)
교육자로서 내 최대 관심사의 하나는 현재 교육시스템으로 학생들을 학습시켜서 컴퓨터와 로봇으로 복제할 수 없는 종류의 기술을 개발하게 할 수 있느냐다. 교육자들은 인간이 비교우위를 갖는 영역에 특별히 초점을 맞춰야 한다. 컴퓨터와 노동시간과 시민 영역의 수요를 바꾸고 있으며, 학생들이 복잡한 기술에 대한 숙련도를 개발해야 한다고 요구한다면, 대규모 학습 기술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249-)
1.학습 생테계에서 기존 이해관계자들은 이 같은 기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 특히 기존 관행을 확장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2.이같은 기술로 어떤 종류의 학습을 평가할 수 있고, 평가할 수 없는가?
3.배경과 생활환경이 서로 다른 학습자들이 어떻게 기술에 다르게 접근하거나 다르게 사용할 것인가?
4.실험과 데이터 분석은 어떻게 이러한 기술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수집과 실험 노력은 어떻게 감시 문화에 기여할 것인가? (-331-)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MOOC는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공개수업이며, 학생,조교, 교수가 함께하는 상호협력, 거대규모의 교육을 뜻하고 있다. 오프라인 교육에 최적화된 우리의 교육방침은 갑작스러운 비대면 교육, 오프라인,사이버 교육으로 전환하면서, 상당히 혼란스러운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선생님의 훈화 같은 말씀에 집중하고, 몰입하고,통제된 교육을 너무 당연하 생각해왔기 때문이다.MOOC 교육의 문제점은 집중되지 않고, 몰입되기 힘들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으며, 무언가 진행하고 싶어도, 그 성과가 불확실하다. 교육의 공평성이 낮다는 것이 MOOC의 단접으로 손꼽는다. 그리고 수업의 보편성, 출석, 채점과 평가가 잘 확인되지 않는 단점이 존재하는 것은 교육의 보편성과 평등성의 원칙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MOOC 가 아닌 불특정 다수를 향한 MOOC는 우리에게 최적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술을 사람에게 접목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저자가 우리 교육환경을 기술만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앞으로 동일한 상황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우리의 교육의 질, 교육방향성은 언택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할 개연성이 높다. 펜데믹이 끝난다 하더라도, 학생은 별개로 하더라도, 교육의 주체인 선생님은 달라져야 하며, 기술에 익숙하고, 학생을 능동적으로 따라올 수 있도록 통제되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러한 과정 들 하나 하나가 무시할 수 없는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게 하려면 ,어떤 방향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지 깊이 고민할 때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28/pimg_7300591133172083.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