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 실전 라이브 커머스
황윤정 지음 / 성안당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스마트폰 
2. 짐벌/삼각대 혹은 탄소강 거치대 : 스마트폰 화면촬영시 흔들림이 없도록 촬영하기 위해 고정으로 스마트폰능 세울 때는 탄소강 거치대를 이용 , 움직임이 필요한 경우라면 짐벌을 삼각대에 올려 필요시 빼서 클로즈업을 할 수 있음
3. 조명 : 화면에 사람의 얼굴과 전체 분위기를 화사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 역광 방지, 보통 3개는 기본
4. 마이크: 쇼호스트의 말을 보다 잘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필요
5. 노트북: 채팅에 대한 답변이나 이벤트 당첨자를 안애하기 위한 용도로 필요
6. 모니터 :노트북과 연결하여 채팅 상황이나 주요 멘트 체크, 당첨자 안내 등의 메시지를 쇼호스트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 필요
7. 추가 보조인력:혼자서 방송을 할 수 있으나 진행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보조 인력이 필요, 출연자도 1인보다는 2인이 더욱 안정적이며 채팅을 담당하는 인력,촬영을 담당하는 인력 등이 필요. (-58-)


2019년, 2020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대표하는 시대이다. 코로나로 인해 문화,경제, 정책, 기술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확산된다. 그로 인해 피로감이 쌓이고, 사람들 내면에 우울감이 생성되고 말았다. 직접 사람을 대면하고, 소통해왔던 지난 날이 이제 소멸되고 있음을 피부로 느끼게 되었고, 큰 타격을 입은 곳이 소상공인들이다. 대책없이 코로나 확진자가 생겨나는 과정에서 매출 급감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라방, 라이브방송, 라이브커머스가 등장한 것은 불가피해진다. 라방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저변에는 택배, 물류,교류, 커뮤니케이션 인프라가 완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건을 직접 구매하지 않더라도, 배달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가 갖춰지게 되면서, TV 홈쇼핑이 집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상점이 필요없고, 임대료를 내지 않는다는 장점, 지역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강점이 라방의 특징이며,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가까이 연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라방에 특화된 플랫폼 네이버 쇼핑라이브, 카카오 쇼핑라이브, 11번가, 쿠팡라이브, 티몬의 tvon, 그립, 소스라이브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라방이 TV 홈쇼핑에 비견하여, 미디어 장비가 질적인 면에서 떨어지면 안된다는 것,온라인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진 미디어 장비가 필요하다. 그래서 책에 등장하는 스마트폰, 짐벌/삼각대, 조명, 마이크., 노트북, 모니터, 그리고 추가 인력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 사람을 잘 쓸 줄 알아야 하며,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짐벌 사용법, 라방을 통해 파는 상품에 맞춰진 조명, 카메라 작동 노하우, 조명을 잘 쓰여질 수 있을 때,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라방의 브랜드 가치도 높여나간다.


결국, 소상공인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지자체에서도 라방,라이브커머스에 관심 가지고 있다.지역의 모든 축제가 중단되면서, 특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막하게 되었으며, 지역의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판로가 소멸되고 있다.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선택한 것이 이 책에서 소개하는 라이브커머스다. 사과축제가 사라지면서, 사과를 라방을 통해 소개하고, 판매하기, 상주곶감 축제가 사라져서, 감, 곶감 농가의 판매를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해결하고자한다. 이런 방식이 어느 정도 효용가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지자체가 미디어 장비,미디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소상공인들이 그 미디어 장비를 활용하고 있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하지만 라이브 방송 장비가 완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라이브방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먼저 강조되고 있다.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