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0 이후, 더 재미있게 나이 드는 법 - 슬기로운 인생 후반을 위한 7가지 공식
스벤 뵐펠 지음, 유영미 옮김 / 갈매나무 / 2021년 9월
평점 :
이미 설명했듯이 우리의 건강 상태는 '최상' 과 '절망' 이라는 양극단 사이에서 진동하는 역동적인 상태다. 따라서 우리의 건강은 양극단으로 이루어진 '연속체' 안의 중간 어느 지점에서 움직이고 있다. (-20-)
소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건 기정사실이다. 나이가 들면 가뜩이나 심혈관 질환이 반발한다는 점도 감안해야 하나. 가공식품이나 완제품 식품은 대부분 정말 간이 세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런 맛에 이미 길들어 그너 식품들이 얼마나 짠지를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며칠 집에서 손수 조리를 해 먹다가 봉지 속에 든 인스턴트수프를 먹으면, 불쾌할 정도로 간이 세다는 사실에 놀랄 것이다. (-93-)
운동을 하자마자 혈관계에 활력이 생기고 림프계의 순환도 원할해진다. 면역계의 일환ㅁ인 림프계에서는 밝은 노란색 수액이 흐르는데, 이를 림프액이라 부른다. 림프액은 영양분과 노폐물뿐 아니라 , 우리의 혈관계에 들어가지 못하는 이물질을 운반한다. 림프액은 림프관을 따라 흐르는 중에 온몸에 위치하는 림프절을 지나는데, 이곳에서 림프액이 정화된다. 림프절에서는 특별한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와 세균을 무해하게 만들거나, 죽은 세포와 노폐물을 걸러준다. 그러면 이제 우리 몸의 해독 기관들인 간과 신장이 이런 '쓰레기'의 최종적인 배출을 담당한다. (-143-)
잠을 잘 못 잔 상태에서는 편도체가 더 강하게 활성화된다. 편도체는 뇌에서 감정과 공포감을 관장하는 중추로, 수면 부족 상태에서 인간은 어떤 정보에 대해 전반적으로 저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수면 부족 상태에서 중립성이 무너지는 현상은 텔아비브 대학교 연구자들이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이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수면이 충분한지 부족한지의 여부와 관련하여 참가자들의 반응과 뇌파 검사가 서로 일치한다는 것읋 확인했다. (-204-)
처음 1분간은 내면으로 주의를 향하게 한다. 생각,감정, 느낌을 의식적으로 지각하라. 그다음 1분은 호홉에 집중한다. 호홉을 하면서 아무것도 의식하지 말고 흉강이 넓어지고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을 관차라라. 마지막 1분에 들어서는 지각을 전신으로 확대하라. 호홉이 머리로부터 발까지 확산되는 것릏 느껴보라.그리고 연습을 마칠 때가 되면 서서히 다시금 주변을 지각하고, 향상된 주의력으로 새롭게 일상에 임하라. (-238-)
오십 이후, 내 몸이 굳어지고, 여기저기 아파온다. 비로서 노휴ㅘ가 시작되고, 건강이 문제가 된다. 서서히 눈이 나빠지고, 피부가 거칠어지고, 성격이 바뀌면서, 입맛이 달라진다. 정서적으로 무기력한 모습이 보이고, 그 안에서 삶에 대한 의미조차 불분명해지는 ,삶의 의미조차 놓치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런 모습을 나이듦에 대한 두려움와 공포와 아픔이 있어서다. 내 마음을 다치지 않고, 건강히 살아가는 것, 소금, 설탕, 패스트푸드를 멀리하고, 삶의 의미를 여행과 배움에 두는 것, 그 안에서 내 삶의 따스함이 필요한 이유를 본다면, 슬기로운 인생 후반을 위한 7가지 공식을 내 삶에 엮이게 된다. 50 이후 더 재미있게 살아가고, 나이드는 법으로, 건강이 첫번째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나의 삶을 나답게 살아가고, 나에게 필요한 인생을 가지는 것, 건강한 식단을 조절하고, 치매 예방에 힘쓰는 것,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알다시피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는 건강과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덧붙여 , 들숨과 날숨을 통해 호홉에 집중한다면, 내 삶을 바로 세울 수 있다. 나답게 살아가며, 건강과 배움에 매진한다면, 마음가짐, 식사, 운동,수면,호홉, 이완과 휴식, 사회관계를 원만하게 하며, 노년의 건강과 행복의 조건을 가지게 된다. 건강하게 늙어가고,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나 자신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 고독사, 돌연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내 삶과 내 시간을 나를 위해서 살 수 있고, 취미와 특기를 통해 내 삶에 의미와 가치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