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야채재배 첫걸음 - 무농약, 유기농 재배로 기르는 안전하고 맛있는 야채재배 기초지식
아라이 도시오 지음, 박성진 옮김, 이태근 감수 / 중앙생활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한 채소를 기르기 위해서는 밭의 산성 토양을 개량하여 퇴비 등을 적합한 양만큼 뿌려주어 활성화시키고 좋은 토양 만들기를 꾸준히 해야 합니다. 청갈병, 줄기갈림병(줄기쪼갬병) 등의 병에 걸린 채소는 남김없이 뿌리까지 뽑아내고 토양 소독과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은 이랑을 높게 하고 밭 주위에 배수로를 파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21-)


위쪽에 열리는 열매가 갈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건조,과습으로 뿌리가 상해 그루가 약해져 있을 경우 열매가 충실하고 충분히 큰 상태에서 갑자기 수분을 빨아들여 껍질이 견디지 못하고 갈라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건조하다고 해서 갑자기 물을 주거나 비에 적시거나 하면 껍질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66-)


깍지완두는 알이 부풀지 않고 깍지가 딱딱해지기 전에 수확하고 열매완두는 깍지에 줄무늬가 생길 때까지 기다렸다 수확합니다. 깍지완두는 금방 딱딱해지므로 매일 아침 잘 관찰해야 합니다. 스나프완두는 깍지가 녹색이고 ,알이 둥글게 부풀어오를 때가 수확시기입니다. (-125-)


입고병, 노균병 등은 연작하지 않으면 줄어듭니다. 진딧물이나 청벌레 등은 한랭포를 씌워 육묘하면 방제할 수 있습니다. (-186-)


산성 토양은 고토석회로 중화시키고 ,물빠짐이 좋은 흙에 봄이나 가을에 씨앗을 파종합니다. 발아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직파보다는 포트에 파종한 후 물주기 등 관리를 잘 합니다. (-297-)


간토(間土) 
비료와 식물이 직접 닿아서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미숙한 퇴비를 사용할 경우, 그 위에 비료분이 없는 흙을 적당량 덮어주는 것. (-309-)


토마토, 가지, 옥수수, 호박, 오크라, 쓴오이(레이시),방울토마토, 오이, 피망, 국수호박, 고추, 늙은오이,딸기,멜론,수박,강낭콩, 완두콩, 땅콩, 대두(메주콩,줄기콩),누에콩(작두), 소송채,쑥갓,배추, 상추, 샐러드채, 미니양배추, 로켓, 엔다이브, 컬리플라워, 대파,쪽파, 시금치, 경수채(교나), 양상추, 치마상추, 양배추, 셀러리, 아스파라거스,블로콜리,부추, 실파, 삼엽초,양파, 명강, 염교(락교),모르헤이야, 순무,무, 미니당근, 토란, 래디시(20일 무),당근,우엉, 고구마,생강, 청경채, 비타민(다채),중국무, 팍초이,세리폰, 무순,싹파, 알팔파,콩나물류,파슬리,민트, 로즈마리,세이지, 레몬밤, 딜, 차이브, 크레송,바질, 타임, 라벤더, 오레가노, 차빌, 이렇게 77개의 채소가 책에 소개되고 있으며, 각각의 채소를 키우고,재배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물론 77개의 야채 중에 실재 재배할 수 있는 상황은 10개 남짓될 것이다. 주변의 토양 ,일조권, 날씨와 기후, 재배 면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야채 재배시 경제적인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기대 수명 100세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유기농 채소에 관심가지게 된다. 건강한 식단, 건강한 채소와 음식을 먹고 싶은 욕망이 누구에게나 있다. 기후 날씨의 영향을 받는 채소는, 수확량이 떨어지면서, 금상추,금배추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수확량이 떨어지면, 경제적인 효과가 떨어져 밭을 갈아엎는 경우도 나타난다.그런 상황에 대비해,주변에 작은 텃밭이 있거나, 화분이 있다면,그곳에 약간의 채소를 옮겨 심는 것이 필요하다. 대체적으로 옥수수, 호박, 오이, 고추, 대파, 쪽파, 양배추, 고구마, 배추,상추, 감자 정도가 무난하다. 야채가 잘 자라기 위한 토양을 만들고, 연작을 피하고, 햇볏이 잘 들도록 주변 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이 들어가고, 물이 빠지는 것이 잘 되어야 야채가 잘 성장할 수 있고, 건강한 식단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무농약 유기 야채 77종을 키우는 방법에 대해서 관심가지게 되고,퇴비만드는 방법,탄저병,노균병, 연부병, 배꼭썩음병과 같이 야채에 흔하게 생기는 바이러스병을 퇴치하는 방법, 방제대책을 꼼꼼하게 설정해야 한다. 더군다나 청벌레, 진딧물류,오이잎벞레,이도충, 배추좀벌레,씨고자리, 근절충, 잎응애류, 이십팔점무당벌레,선충류와 같은 해충들이 유기농 야채 재배법에 변화를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발생시기를 꼼꼼하게 체크해 나가야 할 때다.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ISO 국제인증전문기관 : 네이버카페(naver.com) 사이트 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