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보 전략가 - 인문학으로 무장하라
이상헌 지음 / 청년정신 / 2021년 8월
평점 :
절판
기업에서 전략은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경재기업의 정보를 충분히 분석하고 외부 환경인 정치 경제적인 상황, 사회문화적인 환경, 국제적인 환경, 소비자 트렌드, 이슈 등에 대비하여 기업이 내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계획하고 조직하는 일련의 경영활동이다. (-29-)
다독, 다작, 다상량은 중국 송나라의 문인 구양수가 글을 잘 짓기 위한 비결로써 한 말이다. (-59-)
마지막으로 다상량은 무엇일따?
많이 생각하는 것이다. 이론을 배우고 실무를 익혔으면 어떻게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 것인지,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떻게 고객들과 소통할 것인지, 고객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 늘 생각해야 한다. 사색은 답을 찾는 과정이고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64-)
성공하는 전략은 실패에서 나온다. 본질은 현상이 아니라 근본원인이다. 문제가 생겼을 때 현상만 쫒아서는 결코 해결할 수 없다. 그 속에 숨은 본질을 찾아야 답이 나온다. (-127-)
그렇다면 브랜드 가치는 어떻게 구축되는지 생각해보자.
한 예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랜드를 현재의 가치로 끌어올린 것은 엄청난 퍼블리시티Publicity 의 힘이다.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기업 자체나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에 관한 기사 외에 빌 게이츠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언론의 수많은 기사들이 마이크로소프트 브랜드 파워를 더욱 강력하게 구축했다. (-158-)
나의 약점과 강점을 바로 알고 유리한 위치를 점할 때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적이 최적의 상태에서 전투에 나서지 못하게 하고, 약할 때 공격해서 승리하는 것이 바로 허실전략의 요체이다. 이때 전투력에서 강하게 된 손빈 군대는 '실'이고, 약하게 된 방연의 군대는 '허'라고 볼 수 있다. '허실'은 반드시 적과 아군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인 역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적이 '허' 일 때 아군은 '실',적이 '실'일 때 아군은 '허'가 된다. (-175-)
리더가 메시지를 쓰는 목적은 최대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쉽게 이야기해야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셋째, 메시지에 미래에 대한 희망을 보여 주려고 했다.
지금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는 것과 왜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들어 고객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했다.(-264-)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르는 것은 무지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모든 것을 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사람의 지식과 능력은 유한하므로 지도자는 언론를 넓히고 허심탄회하게 조언을 받아들여야 한다.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여 독선적으로 행동하면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 (-334-)
인문학으로 무장한 홍보전문가다. 이 책은 홍보 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초부터 기본, 그리고 중급에서 고급으로 나아갈 수 있는 조건과 환경, 기승전결을 확립하게 된다. 인문학과 홍보, 묘하게 어우리지 않는 조합이다. 그 어울리지 않은 조합이 크나큰 시너지가 될 수 있다. 융합 사회에서 꼭 필요하며,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찾아낸다. 하지만 충분히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조합이며, 내 삶의 변화를 위해 불가피하였다. 즉 인문학에는 역사가 나오고, 철학과 고전이 등장한다. 홍보 전문가가 되기 위한 자채로운 안목, 여기에 다작,다독, 다상량, 이 세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기초적인 틀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홍보전문가는 세사을 보는 지혜,문제의 본질찾기가 필요하며, 그 지혜는 다독,다작,다상량에서 완성되며,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는 사람이 홍보전문가로서, 전략과 전술을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전략과 전술을 만들 때 소통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 이순신이 22전 22승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을 다독,다작 , 다상량,이 세가지 도구를 활용해 홍보 전문가에 그대로 적하고, 활용하면 된다. 누구나 말은 할 수 있지만 잘 되지 않는 것이 전략과 전술이다. 나를 알고, 나의 약점과 나의 강점을 아는 것, 나에게 유리한 곳을 먼저 선점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 그 과정 속에 성찰이 있고, 성찰은 행동을 통해 검증해 나가는 것이다. 즉 성찰만 있는 홍보 전문가는 반쪽짜리 홍보전문가가 될 수 있으며, 성공하기 위한 도구와 수단을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실패에서 성공의 조건을 찾아내고, 성공의 과정 속에 실패가 있음을 깨닫게 될 때, 나 스스로 내 삶을 변화시킬 수 있고,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론을 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