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적 리더십 - 서울시립대학교 동문 기업인의 창업성공스토리
김서영.김상순 지음 / 비앤엠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업가정신이란 통제 가능한 보유 자원에 얽매이지 않고 기회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Stevenson & Jarillo, 1991),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는 조직(기업) 수준, 개인 수준의 두 영역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Krackhardt,1995).우리는 이해하는 과정이므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중 개인 수준의 영역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대표님께서는 창업, 즉 기업을 직접하려는 이유가 정말 분명하셨다. 자기주도적인 삶을 위해, 조직으로 이루어진 환경에 적응하기보다는 내가 하고자 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원했던 바를 실천하기 위해 시작했다고 하셨다. 이 동기는 과거부터 시작됐는제 중고등학교 때부터 학력에 제한받지 않고 조금 더 기회를 갖기 위해 늦게 대학에 입학하고 , 40살에는 꼭 기업을 하겠다는 다짐이 이미 취직하고 일했던 회사를 그만두고 과감히 창업을 할 수 있었던 동기라고 하셨다. (-44-)


SQ 엔지니어링은 안전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저희 회사 그리고 저는 안전을 하는 사람으로 해당 분야의 주체로서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가 무너지고 나서 안전과 품질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단순히 토목이 아니라 안전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주체로서 시설물 전담 주치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25-)


개인적으로 사실 사업이라는 것은 실리를 따지고 편법과 술수를 가리지 않는 자본주의라고 다소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적도 있었다. 그렇기에 창업을 하는 것에 있어서 더욱 주저했던 것도 사실이었다. 술수 등에 능하지 않은 나 같은 사람이 창업을 해서 성공할 수 있을지 쉽게 자신을 가질 수 없었으며, 그런 상황에 익숙해지는 것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151-)


리더와 리더십, 기업과 기업가정신은 서로 엮여 있었다.기업가 정신에는 기업을 경영하는 CEO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조건 뿐 아니라 역량과 인프라들을 제시하고 있다.이 책에서는 그것을 열정, 기본기(인성),전문가, 준비성, 도전, 목표,변화,기회포착, 기회,신뢰,기본기, 日中見斗(일중견두),선택, 목표,정선, 최선, 목표성취,자부심, 성실, 경제적 가치,차별화,변화와 생존,경험,得道多助(득도다조) 로 요약할 수 있다.각각의 키워드는 리더의 리더십, 기업가정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창업을 한다면, 목표와 목적이 명확하고, 차업의 동기가 분명할 때, 창업을 위한 전체적인 구조 설계가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즉 누구나 창업을 하고 성공한다는 것은 무모하며,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기술과 아이디어가 필요하며, 창업을 왜 하여야 하는지 미래의 비전을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회사에서 조직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이 대안으로 창업을 시작한다. 스스로 어떤 일에 대해서 절실하고, 적절한 타이밍,책임을 지는 것 뿐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가 분명할 때, 열정이 생기고, 자신감이 나타날 수 있다.특히 창업은 결코 혼자서 성공할 수 없는 일이므로 소통과 협력은 필수였다. 특히 자신의 분야의 전문성과 대체불가능한 조건과 준비가 되어 있을 때,기회를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 나갈 수 있으며, 주변의 협조와 피드백, 객관적인 평가, 창업 성공의 발판을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다.즉 누구나 창업을 할 수 있지만, 창업 후 발생하는 리스크와 위험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주어진 자원을 활용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