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일상의 미래 - 공간·이동·먹거리·건강 미래 메가 트렌드 4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지음 / 청림출판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상공간은 늘 말로 가득 차 있어서 재택으로 출근해 온조일 일하고 나면 몸보다 영혼이 더 빨리 닳았다. 그럴 때면 카메라와 모니터를 모두 끄고 눈을 지그시 감았다.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가만히 앉아 있었다. (-62-)


새로운 이동수단의 발달과 관련한 미래 사건으로는 '1인용 이동수단 사용','이동 범위 축소','산업구조 변화','초고속 이동수단 발달' ,'친환경 교통수단' 이 도출됐다. 거리두기 문화가 확산되면서 대중교통보다는 1인용 이동수단 사용이 증가할 것이고, 원격시스템의 발달로 이동 필요성이 낮아지면서 오히려 이동범위가 축소될 것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었다. (-138-)


패데믹 현상의 장기화로 도심 한복판에서의 도시농업urban farming 이나 건물 내 시설을 이용한 실내농업 indoor farming 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201-)


건강 분야의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환경에서 원할하게 데이터가 수집 결합되고 분석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020년 1월 9일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했으며 이후 2020년 9월 25일자로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명 정보 처리 가이드라인과 보건복지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최종안이 발표됐다. (-295-)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서료 엮여 있고, 서로 관여하면서, 서로 얽혀 있다는 것을 피부로 감지하게 되었다. 교통 수단, 이동 수단이 막힘으로서 경제전반에 리스크와 위험이 포착되고 있으며,그에 따른 유연한 사회 대응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정부의 코로나 팬데믹, 보건의료 정책 전반에 손질이 불가피해졌으며, 코로나 팬데믹 대응과정에서 경제 문제, 개인 인권 문제, 법적인 문제와 충돌하게 되었다.더 나아가 각 개인의 자유가 침해되었으며, 누군가는 사람들 간에 생겨나는 사회의 급변에서  기회를 포착하게 되고, 누군가는 리스크를 보게 된다. 즉 이러한 두가지 관점에서 인간의 본성과 밀접한 것은 본능적인 리스크 회피이다. 포스트 코로나는 비포 코로나와 비교해 볼 때, 여행 소비심리, 생활의 중심, 주요 동반자. 여행의 가치, 여행의 모습, 여행 기간, 이동수단의 선택, 여행 먹거리, 보간과 숙박, 여행산업 전략의 전면 개편은 불가피 해 졌으며, 우리 삶의 얽힘을 불 수 있는 문제해결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바로 그 대안이란 함께 가 아닌 혼자의 특징이며, 둘 이사잉 함께 하느 것을 조심스러워 하는 경햐이 고착화되고 있다. 그동안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혼술, 혼행, 혼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혼자라는 것에 대한 안전한 인식을 가지게 된다. 즉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내 삶의 근본적인 생활 변화와 연결된다. 자율주행자동차 전면 도입이 예견되고 있으며, 원격진료, 워격교육, 원격 강의가 우리 삶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낯설음에서 익숙함, 혹은 친숙함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무인자율주행자동차가 도로 위를 운행하게 되면, 실시간 배송시스템, AI 기반 교통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요한 거리 두기 여행문화가 나타날 것이며,일자리가 어느 정도 사라진다. 더 나아가 자본의 힘을 빌린 기업가들은 새로운 신기술을 수단으로 삼아서, 사회 변화와 혁신, 현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AI 기반 기술과 로봇 산업의 육성,미래의 먹거리 산업의 재편이 나타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인간 중심의 뉴딜 산업은 시장의 구조를 하나 하나 바꿔 놓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