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게 아니라고 말해줘요
도재경 지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75-1.jpg


도재경님의 단편소설 <별 개 아니라고 말해줘요>는 일곱 편의 연작으로 이어져 있으며, 작가의 심층적인 문학 세계관과 연결되고 있었다. 이 단편 소설은 여느 소설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주인공과 그 주변인물들을 관찰하는 입장에 놓여져 있다는 것이었다.그래서 한 번이 아닌 두 세번 읽어나갈 때, 작가의 의도와 문학적인 깊이를 이해할 수 있다. 한국 소설은 외국소설과의 차별화된 요소를 손꼽자면 여기에 있었다,. 즉 자시의 삶에서 나와 타인의 삶을 미시적으로 들여다 본다는 것이며, 작가의 세계관 깊숙한 곳을 파고 들어가냐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소설은 대체적으로 모호하면서, 애매하다.


소설 <피에카르스키를 찾아서>에는 우리 고려인의 역사를 들여다 보게 된다,. 박 류드밀라와 그의 조카 율리아, 두 사람은 과거의 아픈 기억들을 공유하고 있었다. 100년전 일제에 의해서, 강제 이주 되어 버린 아픈 고려인의 역사,그리고 그 아픈 역사를 담아내고자 하였던 박류드밀라 여사는 '고려인 실종자 명부'를 완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인생을 모두 바치게 된다. 즉 누군가의 인생 모든 것을 다 바치는 그 과정들, 그 삶의 깊은 희노애락이 자신의 운명이자 숙명이었으며, 그 하나 하나에 고령니의 애환을 엿볼 수 있다. 누간가가 해 놓은 평생에 걸쳐 해놓았던 프로젝트는 후대에 계속 이어질 수 있으며, 길이 보존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게 되는 소설이었다. 율리아에게는 고모 박류드밀라의 삶을 알고 있었으며,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스스로 깨닫게 된다. 


소설 <사랑이라고 말하지만>에는 신라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여전히 미궁에 빠져 있는 신라의 역사에 대한 퍼즐 맞추기는 어떤 미라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다. 민교수 앞ㅇ레 놓여진 신라시대의 역사를 담아내고 있는 미라는 예상치 않은 힌트를 남겨 주고 있었다. 미라의 죽음의 미스테리는 타살의 증거가 남아 있었으며, 최치원이 살았던 그 시절로 빠져들게 되었다.그리고 그 안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신라의 역사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소위 역사학자들의 집착에 가까운 집요함,그것이 평생에 걸쳐 무언가를 완수하려는 노력들이 있었으며, 민교수가 얻고자 하는 연구의 실체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


소설 <피치카토 폴카를 듣는 시간>은 단편 SF 소설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었다. 지구에서 온 에그, 그 에그는 지구인이 만들어낸 최첨단 기술이 들어가 있는 복합체이다. 이 소설은 우리의 미래의모습을 생각하게 되며, 지구의 마지막 순간, 우리는 무엇을 남길 것인가 심히 걱정스러움을 자아내고 있었다. 즉 지구의 종말이나 멸망을 생각한다면, 지금 우리가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에그의 모습 곳곳의 흉터들을 보더라도 말이다. 어떤 노력과 시간을 써서 만든 위대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지구가 없어지면 그것은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여전히 무의미한 작업을 계속해 나가고 있으며, 작가의 의도와 소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아가게 되었다. 이 소설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담겨져 있다.그 안에서 나라는 존재가 살아있었으며, 각각의 주인공의 모습 속에서 나 스스로 작가의 세계관 속에서 나는 무엇을 챙겨야 하는가 깊이 파고 들게 된다. 현재 나 스스로 힘들다고 생각할 때, 앞으로 무엇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박류드밀라처럼, 내가 무엇을 남겨야 할 지 깊이 고민한다면, 내가 해야 할 사명감이 무엇인지 명확해질 수 있다. 단편 단편 하나 하나에는 작가의 메시지가 담겨져 있었다.

375-2.jpg


375-3.jpg


375-4.jpg


리뷰어스배너.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