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 -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20년간의 처절한 삶의 기록
설운영 지음 / 센세이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84-1.jpg

 

284-2.jpg

 

284-3.jpg

 

284-4.jpg

 

대한민국에는 깊고 깊은 선입견과 편견이 존재하고 있다.정신장애를 가진 이들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들이다. 그중에서 반사회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정신장애,과거 간질, 뇌전증으로 불리였던 조현병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이었다. 에세이 <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는 조현명을 앓고 있는 첫째 아이의 아픔과 치유에 대해서 언급그하고 있으며,우리사회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서 ,자신의 삶을 솔직하고,진솔하게 밝힘으로서,좀 더 따스한 사회로 거듭나고자 하였다.즉 내 가족의 깊은 아픔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용기가 필요하였을 것이며, 첫째 아이로 인해, 사랑이 닿지 못하는 둘째에 대한 미안함이 고스란히 책속에 나타나고 있었다.


살아간다는 것은 충분히 견디는 것이다.그러나 조현병을 앓고 있는 가정은 그렇지 못하다. 사회적 소수자로 살아간다는 것, 1%의 소수의 삶, 조현병은 사회적으로 행동이 통제할 수 없는 사람, 반사회적인 문제아로 인식되고 있으며,소시오패스, 싸이코패스를 언급할 때 단골처럼 언급되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말이다. 즉 저자는 자신의 아이의 아픔을 말하면서,아픈 아이 첫째에 대한 생각,그리고 둘째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즉 한 가정에서 누군가가 아프다는 것,치유할 수 없는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도,그들은 충분히 불행할 수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소위 세상의 1%의 소수의 약자들에 불과한 그들의 삶에 대해서 범죄와 엮지 않고,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것, 사회의 따스한 온기가 정신장애를 가진 가정에도 도달하길 바라는 저자의 생각은 우리에게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삶에 대한 성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책 속에 나오는 이야기가 실제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공감과 이해가 가는 부분들이 여기저기 보여졌다.부모가 평생 내 아이와 같이 살아갈 수 없다는 것,언젠가 떠나야 한다는 사실,그래서 둘째에게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저자의 마음,그것이 우리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아픈 삶의 편린이었다.

리뷰어스배너.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