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아무렇지 않은 척 살고 있지만 - 스물다섯, 저마다의 이야기 그리고 인터뷰
황연웅 지음 / SISO / 2021년 1월
평점 :
절판



내게 스물다섯은 '몰입'이야.나는 뭘 할 수 있고,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예전에는 이 질문에 쫒기며 지냈지만, 이제는 걱정하지 않아.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몰입하는 중일야.걱정없이 몰입할 수 있는 대상이 생겼거든. (-30-)


오랫동안 사람들을 용서하지 못했어.,상대의 탓을 찾아가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은 결국 내 탓이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이어졌어. 자존감이 깎였고,그만큼 분노하며 탓하기 바빳어. 화내야 할 대상을 찾으면서 지냇어. (-97-)


화가 았다. 억울하기도 했고 슬프기도 했는데, 그러한 감정 모두 대상을 찾지 못했다. 누구에게 화가 나야 하고, 무엇에 억울해야 할까.할 수 있는게 없었다. 복수도 아니고,구조를 바로 잡겠다는 거창한 계획도 아니었다. 그저 어리숙하게 당하는 약자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그러나 그마저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159-)


이제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까. 대답이 너무 어려웠어.근데 누가 그러더라.'의미가 있어서 사냐고.살아 있으니까 의미가 있는거지'라고. (-196-)


나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말하지 않아. 누군가에게 나를 소개하는 자리에서 전공을 말하긴 하지만, 남들이 나를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물 속 깊이 들어가 듯 나를 숨기는 편이야. (-187-)


이 책의 화두는 스물 다섯이다. 스물 다섯은 백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생 전반전의 갈림길의 출발이 될 수 있다. 스물 다섯, 그 때를 어떻게 준비하고 출발하는지에 따라서, 그 사람의 인생의 전반전은 크게 바뀔 수 있었다.즉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나의 스물 다섯에 대해 회고할 수 있었다.그리고 다시 과거로 돌아간다면, 나는 스물 다섯을 이렇게 보낼꺼야 하고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돌이켜 보먄 스물 다섯에 용서를 배우지 못해서, 지금도 여전히 용서가 어려운 것 같았다. 자신감도 마찬가지였다. 온전히 나의 기준으로 볼 때 스물 다섯에 완성했던 것은 취미와 꿈이었다. 그것은 완성된 취미가 아닌 막연한 취미이면서,꿈이었다. 즉 미생이지만, 미완성이지만 꿈을 꾸어야 하고, 의미를 찾고,무언가를 해야 할 것인지 생각하여야 하는 중요한 시기,스물 다섯이다. 즉 스물 다섯은 안개이다. 뭐든지 이루어지기 힘든 나이이다. 안개 속을 스스로 헤집고 다니매면서,충분히 불안할 수 있는 나이가 스물 다섯이다. 뭐를 이루지 않았지만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 계획을 시작하는 나이이기도 하다. 즉 나를 많이 알아가는 것,나를 관찰하기, 나에 대한 정체성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고,나의 꿈을 완성시켜 나가야 하는 나이가 딱 스물 다섯이었다.즉 스물 다섯은 가치관이기도 하다.그 때의 가치관은 인생 전반기의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경험의 편린들이 나를 바꿔 놓을 수 있지만, 인생의 큰 동맥줄은 스물 다섯에서 시작하여,스물 다섯에 완성되는 것이다. 즉 이 책에서 각자 스물 다섯에 대해서, 사랑, 몰입, 불안,의미 등등을 언급하고 있지만, 그것 하나 하나가 틀리지 않은 이유는 여기에 있다.스스로 어떤 것을 스물 다섯에 시작하는지에 따라서, 앞으로 펼쳐질 인생은 충분히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물 다섯이 인생의 후반기가 되는 오십의 주춧돌을 완성시키는 씨앗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