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똑똑한 엄마가 내 아이를 지키는 생활 방법 - 알레르기, 아토피, 새집증후군 우리 아이가 병들고 있다!
진 사토코 지음 / 길벗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저에게는 전환점이라 할 수 있는 결정적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저희 집에서는 아들이 태어나기 전부터 개를 키워왔습니다.그런데 가끔씩 묵으러 갔던 친척집에서 키우던 골든리트리버에 반응해, 아들이 극심한 천식 발작을 일으킨 것입니다. (-3-)
쌀은 해충 피해를 입으면 갈색 얼룩이 생기는 '반점미'가 됩니다.반점미는 검사 시 등급이 떨어지므로 농약으로 노린재를 쫒으려는 것입니다.'반점미'는 먹어도 무해하며 맛도 변함이 없지만, 사실상 소비자에게는 거의 전달되지 않습니다., (-49-)
여러분도 실제로 사용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최고의 비누를 찾아보세요. 요령을 터득하면 사용감이 점차 좋아져 합성 세제로 되돌아가지 않을 겁니다.어쩌면 편안한 에코 라이프를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싶어질지도 모릅니다. (-124-)
유리식기가 불투명한 것은 합성세제 성분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비누로 설거지하다 보면 차차 나아집니다. 신경쓰인다면 베이킹소다 거품 비누로 닦아내세요.투명감이 살아납니다. (-160-)
비누로 세탁한 의류는 합성세제처럼 유연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그러나 의류에 남은 알칼리 성분을 산(구연산, 식초)으로 중화하면 비누 찌꺼기가 제거되며 부드럽게 마무리됩니다. 또 장기간 보관해둘 의류에 쓰면 누렇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헹굼 마지막 단계에 넣어주세요.식초 냄새는 바로 사라지니 안심하세요. (-178-)
가습기 살충제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변화의 동기가 되었으며, 화학물질에 대한 정확한 사용법을 익히도록 강제하고 있었다.내 아이의 호홉기 질환에 치명적인 영향 끼쳤지만, 정작 그 문제에 대한 책임자는 거의 없었다.이런 문제의 원인은 대중 매체에서 무분별하게 흘러나오는 홍보,마케팅 때문이다.특히 친환경 제품,무농략 제품,예쁘고,깔끔하고,세련된 것을 강조하면서, 화학물질 남용 시대에 접어들고 말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왜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화학물질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해 눈여겨 보게 되었다.그 출발점은 우리의 건강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전환점에 있었다.농약을 친 사과와 쌀을 1등급으로 쳐 주고, 비싼 가격에 소비자에게 팔려 나갔간다. 과일이나 식품에 제초제를 치는 이유는 소비자의 생각의 변화,선호도의 변화 때문이었다.벌레먹은 사과는 싸다 하여도 사먹지 않는 풍토,무농약 농사기술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풀을 뽑는 것이 힘들다는 농부의 입장이 반영되어서, 농사를 짓는 농부에게 농약은 달콤한 유혹이 된다.그로 인하여 과일에 농약이 묻어있게 되고, 그것을 우리는 입으로 먹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잘못된 패턴을 끊기 위해서는 바른 삶의 패턴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모양보다, 내 몸을 먼저 생각하고, 올바른 식품을 선호할 수 있는 지혜로운 처신이 요구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
이제 우리는 빨래에 넣는 합성섬유제를 자제해야 하는 이유는 이 책에 분명하게 나와 있었다.여러가지 합성 섬유제품이 늘어나게 된 원인은 바로 세탁기의 등장에 있었다.즉 세탁기에 합성섬유제품을 직접 넣고 돌리면, 시간이 지나면 깨끗한 빨래가 될 수 있다.그리고 세탁기 광고는 그것을 더욱 더 강조하고 있었다.여기에 친환경 제품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이제 우리는 화학섬유제,유연제를 남용하다시피하고 있었다.그것의 대안이 베이킹소다와 비누,식초,구연산이며, 빨래의 특징에 맞게 세탁을 할 수 있는 대체제가 필요하다.즉 알칼리 빨래에 쓰는 비누는 어떤 걱이 있는지 알아보고, 액체형 비누로 빨래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누린 때를 깔끔하게 제거하고, 화학섬유제에서 벗어난다면 건강한 가족으로 거듭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