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렌드 2021 - 미래는 우리를 기다리지 않는다
권병일.권서림 지음 / 책들의정원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유투브 프리미엄 서비스는 누가 가입할까? 주로 아기 어마들이 신청한다고 한다.아기가 유투브를 보다가 광고가 나면 마구 울어버린단다.무료 콘텐츠가 유료로 전환되는 순간이다.하여튼 요즘은 콘텐츠 소비의 천국이 되었다.유투브, 인스타그램, 틱톡, 넷플릭스 등이 바로 그 주역이다. (-19-)


뉴노멀 시대에 떠오르는 키워드는 'H.O.M.E'이다.이는 헬스케어Healcare, 온라인Online,무인화Manless,홈이코노미Economy at Home를 의미한다. 뉴노멀 시대 모든 산업화 비즈니스의 핵심은 디지털로 모이고 있는 것이다.(-61-)


퀄키는 공동제작, 플랫폼, 온라인 숍이다.공동 창조 플랫폼에 참여한 사람에게는 아이디어료로 99달러를 지불한다.디자이너 커뮤니티에서 선정이 되면 제품 개선 및 공동 디자인 작업에 참여한다. 공급사는 제품 구매 요청자가 최소수를 상회하면 생산을 개시한다.매출이 발생하면 30% 이익은 최초 아이디어 제안자, 30%는 참여한 사람들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한다.(-125-)


삼성전자는 6G 비전을 제시하는 6G백서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을 2020년 7월 14일 공개했다백서에는 초실감 확장현실,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 디지털 목제 등의 서비스가 등장ㅎ랄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었다.삼성전자는 6G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 항목을 연구가 필요한 후보 기술로 선정했다.

텔아 헤르츠 주파수 대역 활용 기술
고주파 대역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안테나 기술
이중화 혁신 기술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 위성활용 등 네트워크 토폴리지 혁신기술
주파수 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주파수 공유 기술
AI 적용 통신 기술. (-183-)


컴퓨터가 상용화 되던 시점 우리의 경제는 소유 경제였다. 모바일이 상용화되고, 걸어다니는 컴퓨터 스마트폰을 가지게 되면서,소유 경제에서 공유경제로 트렌드가 바뀌게 된다. 2020년은 다시 공유경제에서 구독 경제로 이행되고 있는 트렌드의 변화이다.이러한 트렌드의 변화는 기술 혁신 뿐만 아니라 그 때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지금 현재 우리의 골칫거리 코로나 19 펜데믹은 급변하는 트렌드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우리는 그것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 부르고 있다.


2020년은 언택트,비대면이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다.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코로나 19는 상당히 심각하다는 반증이었다.집이 제일 안전하다는 인식이 커지게 되면서, 여행,관광 관련 상품들이 불황을 맞이하고 있으며, 결혼이나 축제를 미루거나 취소하고 있는 현 상황이다. 즉 이러한 변화는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상상하게 되고,그것이 현실로 작용되고 있는 현재의 모습이 관찰된다. 즉 사람과 사람이 만나지 않는  비대면 언택트는 ,디지털 인텍트이며, 과거 위위크와 같은 공유 경제가 넷플릭스, 유투브,인스타그램과 같은 구독경제로 이행되고 있다..그건 우리 사회의 변화, 코로나 19 극복을 위해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국적 의약 회사에서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전지구적인 노력들이 보여지고 있는 현상황이 우리 앞에 나타났다.즉 이 책을 읽고, 2021년 트렌드를 이해하면 읽으면, 현재의 상황을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돈에 대한 안목,돈의 흐름이 보인다는 의미다.그러나 코로나 19처럼 어떤 변수나 복병이 나타난다면,기존의 트렌드 변화 예측은 재수정될 수 있다.우리가 트렌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디지털 트렌드, 즉 디지털 전환이 가져오는 사회적인 변화를 관찰해 나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