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줄레이하 눈을 뜨다 ㅣ <5+5> 공동번역 출간 프로젝트 3
구젤 샤밀례브나 야히나 지음, 강동희 옮김 / 걷는사람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책 표지 속 소녀의 모습, 정확히는 줄레이하 발레야바였다. 소비에트 정부, 공산주의 제정 러시아,제1차,2차 세계대전 기간동안 열다섯 소녀 줄레이하는 어느덧 서른이 되었다. 열다섯 아이와 이제 육십을 바라보는 남편 무르타자와 이제 100살이 된 구부러진 노파 우프리하,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줄레이하는 파릇파릇한 서른이었다. 하지만 줄레이하는 파릇파릇하지 않았다. 젖은 닭이라 부르고 있었으며,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기 일쑤인 러시아 여성의 삶과 일치하고 있었다. 티타르 여인 줄레이하는 어느덧,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었고,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될 처지에 놓여지게 된다. 추운 한파, 기찻길에 올라타게 된 줄레이하, 그 안에서 이그나토르를 만나게 된 줄레이하는 한숨 돌릴 수 있는 삶의 여유를 선물로 얻게 된다.눈이 멀었고, 귀가 안들리지만, 우프리하는 줄레이하를 통제하였고, 꼬장꼬장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칠십의 나이 차이,손주 며느리에 가까운 줄레이하를 통제하려는 성향이 우프리하의 삶을 지탱하고 있었고,삶의 의미를 찾아 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줄레이하는 새로운 삶을 살아가고 싶어 하였다.생사 사의 사투 , 남편의 죽음, 그리고 기찻길에 올라 타게 되면서, 목적지도 모르는 청처없이 떠나는 한파 속 기찻길 위는 언제나 위태위태함 그 자체였던 것이다. 즉 자신의 삶을 온전히 누군가에게 맡기고 있어야 하며, 기찻길에는 피내음새가 진동하였다.어른들이 기차 내부에서 죽어 나갔고, 아이들도 마찬가지의 운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기차가 잠시 플랫폼에 머무는 동안 시체는 어딘가로 실려갔으며,그로 인하여, 그들에게 여유의 식량을 온전히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그들은 고통 속에서 자신의 생존을 보존하게 된다. 영하 40도 이하의 추위, 그들은 살기 위해서 창녀로서 살아가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고, 그것을 곱게 보지 않은 이들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였던 것이다. 1930년대의 소비에트 연방의 삶은 생존에 모든 것을 걸어야 했던 줄레이하,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맡긴다는 것은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줄레이하는 티타르인의 삶에서 벗어나 소비에트 연방의 일원으로서,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였고, 결국 살아남게 된다.'
600페이지, 소설은 상당히 두껍다. 1930년대 러시아의 삶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어야 이 책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스탈린 체제하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것을 들어 주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악조건을 갖추게 된다. 여전히 소녀티를 벗지 못하는 줄레이하는 어느덧 서른을 넘겼으며, 살아가기 위한 채비를 갖춰 나가게 되었다. 이그리고 또다른 인물 이자벨라의 아이를 보면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바꿔 나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