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인종에 대하여 외 - 수상록 선집 고전의세계 리커버
미셸 에켐 드 몽테뉴 지음, 고봉만 옮김 / 책세상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1-0.jpg

 

111-1.jpg

 

111-2.jpg

 

111-3.jpg

 

111-4.jpg

 

111-5.jpg

 

111-6.jpg

 

 


나에겐 오랫동안 방치된 책이 있다.홍신출판사에서 나온 몽테뉴의 수상록이다. 이 책은 서양의 고전 중에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손이 안 가는 책이기도 하다. 몽테뉴의 에세이 수상록은 16세기 유럽 사회를 이해할 수 있으며, 콜롬버스에 의하여 신대륙이 발견한 직후 100년이 지난 그 시점에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이 책의 서두에 몽테뉴를 프랑스의 대표적 사상가이며, 모럴리스트라 말하고 있다.그건 16세기,중세시대 그 시대의 편견과 선입견에서 자유로운 몽테뉴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었다. 여기서 몽테뉴의 사상의 실체에 접근해 본다면 1533년에 태어나 1592년에 세상을떠난 몽테뉴의 지식과 경험,지혜를 갸늠해 볼 수 있다.


책은 크게 6개의 소주제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 소주제는 식인종, 마차, 소카토, 데모크리토스와 헤리클레이토스, 신앙과 절름발이에 대해서 논하고 있었다.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와 헤라클레이토스에 대한 언급을 살펴 본다면, 그리스 철학에 심취하였던 유럽인들의 생각에서 벗어나 몽테뉴 스스로 자유로운 철학적 사유를 향유하고자 하였다., 특히 신대륙 발견 후, 남미 페루 지역 인근에 보여지는 식인 풍습에 대해서, 유럽 사회는 미계한 종족,야만인이라 지칭하였다. 하지만 몽테뉴는 다르게 생각한다. 그들과 유럽인들은 다를 뿐 하나는 옳고 하나는 틀리다는 시점으로 바라본 게 아니라는 말이다.그건 몽테뉴가 그 시대의 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며, 하나의 사례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나 아렌트가 생각났다.그는 유럽에서 논란이 많았던 여성 철학자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후 처리에 있어서, 악의 평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사람을 선과 악으로 구별하는 것은 상당히 어리석은 행위이며, 스스로 경계해야 한다는 것을 한나 아렌트 스스로 알고 있었다. 그건 몽테뉴도 마찬가지였다.신대륙 원주민이 설령 미개하고, 야만스럽다 하더라도,그것이 유럽인들이 신대륙 원주민을 향한 공격성에 당위성을 제시할 순 없는 것이다. 돌이켜 보면, 중세 시대에도 그러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전후에도 그러하였으며,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도 마찬가지이다. 누군가를 공격하고, 전쟁을 하는 것에 대해서 꺼리낌 없이 행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 스스로 철학적 사유 없이 무의식적인 행동, 반지성주의의 민낯에 있었다.

 

리뷰어스배너.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