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린, 조금 지쳤다 - 번아웃 심리학
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20년 10월
평점 :

"무엇 때문에 이렇게 힘들고 우울한지 모르겠어요. 특별히 나쁜 일도 없는데...." (-12-)
주의가 산만하고, 무기력하며, 쉽게 짜증이 나고, 화가 치미는 것과 같은 벗아웃 증상은 모두 뇌가 지쳤다는 신호다.
인간의 뇌는 깨어 있는 시간의 약 30~50 퍼센트를 집중하지 못하고 멍하니 있다. (-67-)
분열형 인격장애의 특징
기묘한 믿음이나 미신, 텔레파시, 육감, 환상에 집착한다.
관계 사고와 망상적 사고 빠져 있다.
일상적이지 않은 지각이나 신체적인 경험을 자주 한다.
기이한 옷차림이나 상식에서 벗어난 언행을 일삼는다. (-110-)
연극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는 자기애적 인격장애 및 경계성 인격장애와 겹치는 점이 많다. 연극성 인격 성향의 가장 큰 특징은 과장되고 극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다.이 점은 자기애성 성향의 사람에게도 드러나지만, 연극성 인격 성향의 가장 큰 특징은 과장되고 극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다.이 점은 자기애성 성향의 사람에게도 드러나지만, 연극성 인격성향은 그 정도가 훨씬 심하다. 단순히 타인의 관심을 원하는 수준이 아니라, 타인의 관심이나 인정을 받으려고 지나치게 애쓰고 감정을 표현하는 증상을 말한다, 요즘 흔하게 언급되는 '관종'이 연극성 인격 성향에 해당된다고 보면 된다. (-132-)
회피성 인격장애의 특징
비난이나 거절에 대한 두려운 때문에 대인관계를 피한다
낯가림이 심하고 수줍음이 많아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꺼린다.
자신이 나서거나 주목받는 것을 싫어한다.
새로운 활동이나 시도를 피한다. (-163-)
우리는 '번아웃의 시대'를 살고 있다.어떤 사람들은 상성 같은 대기업에 일하면서도 퇴직 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따려고 애쓰고, 영어가 유창한데도 승진 심사를 앞두고 중국어 학원까지 다니기도 한다. 업무 외에도 대인관계, 운동, 재테크,취미에 이르기까지 멀티플레이어가 되려고 노력하고 , 투잡 또는 쓰리잡을 가진 사람도 드물지 않다. (-203-)
조금씩 나는 무기력하고 우울해지고 있었다.
'왜 이렇게 된 걸까?'
내일이 되면 괜찮겠지,일주일 쉬면 나아질 거야라고 생각했지만, 나는 조금씩 그리고 확실하게 망가져 갔다. (-244-)
가끔 그런 것 같다.왜 우리는 점점 더 무기력해지고 ,힘든 삶을 살아가는 것일까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된다. 긴장 속에서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그 안에서 우리는 번아웃 된 상태, 그 자체의 삶을 살아간다. 애를 써도 애를 쓴 보람이 없고, 도리어 힘든 삶이 내 앞에 놓여져 있을 때, 우리는 그안에서 삶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며,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고, 삶에 대한 슬픔 속에 침전하게 된다. 극단적인 삶을 선택하게 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지친 삶이 우리 앞에 놓여지게 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였다. 살아가면서, 느껴야 하는 삶의 희노애락, 그것이 우리의 삶 속에서 내 삶을 피곤하게 만들고, 경쟁에 대한 회의감 마저 들게 된다. 즉 이 책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삶에 대한 기준과 방향성 제시였다. 분열성 인격장애인지 회피형인격장애인지, 분열형 인격장애인지,자기애성 인격장애인지, 연극성 인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 ,스스로 분석해 본다면,그에 다라서 자신의 삶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 새로운 인생,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살아간다는 것, 관계를 맺고,서로 손잡고 함께 가는 것이 중요한 이유,지친 삶을 잠시 내려놓고,내 삶에 온전한 평온을 가져와야 하는 이유를 다시한번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