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소방안전교육사가 쓴 소방안전교육사 2차 기출.예상 문제집 - 소방안전교육사 2차 시험 단기 합격 대비서
박승균 지음 / 중앙경제평론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전의 사전적 정의는 위험하지 않는 것,마음이 편안하고 몸이 온전한 상태를 말한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위험을 알아야 안전을 알 수 있다는 의미이다. 위험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며, 또한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알아야 한다. (-22-)


화상의 원인에 따른 분류
화염화상: 화재사고나 프로판, lpg 가스 폭발로 인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를 말하며,대개 싱처가 깊고 호홉기에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열탕화상:뜨거운 물이나 라면 국물, 식용유, 수증기 등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로 주로 2도 화상이 많으며,어린이가 많이 입게 되는 화상이다.
전기화상:전류가 몸에 감전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낮은 전압에서도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종종 심각한 휴유증이 발생한다.
화학화상:산,알칼리,나 일반 유기 용매제와의 접촉에 의하여 일어나는 화상으로 경우에 따라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접촉화상:뜨거운 철판, 다리미, 전기장판 등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3도 화상으로 진행된다. (-103-)


계절별 재난 사고 유형은 다음과 같다.
봄:황사, 산불, 해빙기 사고 등
여름: 물놀이 안전,풍수해, 태풍,폭염, 식중독 등
가을: 야외활동 안전사고 등
겨울: 빙판 및 얼음 사고, 폭설, 화재 등 (-197-)


작년에 한 번 심폐소생술 교육을 들은 적이 있었다.그 때 당시 보건소에서 진행되었지만 안전 교육은 소방관이 직접 지도하였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분의 직업은 소방관이면서, 정확히는 소방안전교육사 였음을 알 수 있다.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 교육에 힘쓰는 것, 그것은 소방안전교육사가 할 일이며, 교육의 목적과 취지에 맞게 커리큘럽을 짜는 것을 주업무로 하고 있었다.


책에는 이처럼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안전 문제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안전교육의 목적 및 예방법, 그리고 만약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그 요령을 가르쳐주는 직업과 자격증, 바로 소방잔전 교육상에 대한 자격 요건요건을 알려주고 있으며, 그중에서 시험 합격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2치 기출 문제를 다루고 있다.특히 이 책에는 그들이 실제로 유치원, 초중고등학생이나 일반인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할 때, 교수지도 계획서 작성요령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지진, 태풍,화재, 그리고 이번과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괴질이 출몰할 때, 어떤 안전 교육이 필요한지 그 기준과 대처 요령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교수 지도 계획서에는 활동명, 교육 주제, 교육대상,학습목표, 준비물, 단계 (교수 학습 활동 :도입, 전개,정리 및 평가)를 다루고 있으며, 나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을 때, 교육주제가 바로 심폐소생술이며, 교육대상은 일반이었으며, 학습 목표가 응급조치법이라 간단히 말할 수 있다.실제 현장에서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수 학습 활동이다. 그건 교육의 전체 과정들을 알려주고 있으며,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아닌지, 정리 및 평가 ,피드백을 같이 쓰는 이유는 소방 안전 교육의 효능에 대해서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 및 관심도를 높여주기 위해서 꼭 필요한 절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