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케플러62 Vol.4 : 개척자 ㅣ 케플러62 4
티모 파르벨라.비외른 소르틀란 지음, 파시 핏캐넨 그림, 손화수 옮김 / 얼리틴스(자음과모음) / 2020년 4월
평점 :

핀란드 작가 티모 파르벨라의 <케플릿 62>시리즈는 지구에 사는 인류의 마지막 모습은 어떻게 될지 공상소설을 통해 이해해 볼 수 있게 된다.인류가 그동안 외계행성을 천체 망원경으로 조사하면서, 찾아낸 인류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곳,책 속에서는 지구에서 1200 광년 떨어진 케플러 -62e라는 곳이었다.그곳은 지구와 같은 초록의 초원이 있었고, 초원족과 그나메르 족이 함께 살아가는 곳이었다.그러나 그곳에는 아리가 역사교과서에서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 이야기가 숨어있다. 한편 지구에서 세개의 우주 탐사선에 나눠 탓던 12명의 아이들은 우주탐사선 하나가 폭발하면서, 네 아이가 그자리에서 세상을 떠나게 된다.우여곡절 끝에 도착한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 아이들은 인류의 희망과 미래를 보고 있었다.
탐사대 리더였던 올리비아,그리고 보이지 않는 열세번째 아이,그 아이는 우주탐사선에 탓던 아이들에게 희망의 아닌 막막한 미래를 줄거라고 예측해 볼 수 있게 되었다.아이들 스스로 낯선 행성에서 우주복을 벗어던짐으로서 지구와 같은 비슷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는 행성 케플러-62e의 생테계를 마주하게 되었고, 희망에 부풀어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아리는 51구역에서 가져온 특수담요를 덮으면서,이상한 기운을 감지하고 말았다.컴컴한 밤 별과 행성이 하늘 위에 있었고,초록 숲과 물이 샘솟는 곳에 있지만,아리의 동생 요니의 심한 기침은 그 불행의 전조였으며, 아이들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탐사대의 리더이자,의사였던 올리비아는 그러한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보고 있었다.지구와 같은 생테계처럼 보이지만 케플러-62e는 분명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다.콜럼버스가 신대륙에 들어온 이후 스페인 군대가 총과 균과 쇠를 활용해 인디언을 제맙하였던 것처럼 아이들 앞에는 또다른 바이러스가 출몰하게 되었다.원시자연 속에서 자신들과 같은 병을 가지고 있었던 그나메르 족이 안고 있는 동등한 병,지구 밖 1200광년 떨어진 행성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혼자서는 불가능한 미션이었다.위스퍼러였던 초원족과 마주하게 되는 여덟명의 아이들은 기괴한 목소리를 가진 그나메르족은 초원족을 멸망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보였다.정체모를 병에 걸린 요니는 스스로 자가 격리 조치되는데,아이들에게 놓여진 운명은 예고되지 않는 길을 가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