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은 미래진행형 -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철학
김윤희 외 지음 / 다온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소는 자신의 청소년기를 후원해 준 어머니뻘의 바랑 부인과 연애하고,오직 귀족 부인들과 관계를 맺어왔다.이후에는 온전한 대화조차 통하지 않는 여성들과 결혼하여 자녀를 모두 고아원에 버리는 등 책임감 있는 관계를 경험하지 못했다.가정이나 사회에서 여성을 온전한 대화와 관계의 상대로 접해본 적 없기 때문에 여성은 능동적이지 못하고 주체적이지 못하다는 편견을 가지고 자신의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64-)


밀은 꽤 냉정한 능력주의자다.심지어 <<대의정부론>>에서는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의 참정권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하지만 능력주의가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머저 교육의 기회가 공평하게 제공되어야 하고 ,사회 참여 과정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역량을 입증할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밀은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타고난 본성보다 교육의 기회를 포함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87-)


바그너가 니체 철학의 메인 재료라면 화룡점정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다. 니체가 스스로 밝혔듯 그를 철학으로 이끈 장본인은 칸트 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쇼펜하우어였다.니체는 헌책방에서 우연히 집어 든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로 부터 큰 영감을 얻었다. 삶에 대한 맹목적인 의지를 의미하는 쇼펜하우어의 '생의 의지'개념은 실재하는 것은 결국 강해지고자 하는 의지라는 초인의 '힘(권력)에 대한 의지'로 연결된다.혹자는 그가 쇼펜하우어의 여성관을 닮아 여성혐오의 성향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닌지 추측하기도 한다. (-159-)


하이데거와 연인관계였고 ,그의 나치 전력을 용서했다는 이유로 아렌트는 '여성 사상가'로서 비판받고 폄훼되기도 했다.하이데거가 자행했던 일을 과거 연인이었다는 이유로 너무 쉽게 용서하고 그를 다시 세계에 편입시켰다는 것이다. 아렌트는 이러한 비판에도 하이데거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두 사람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면 자신을 용납하기 어려웠을 것'이러고 표현하며 자신의 행동에 후회가 없음을 내비쳤다.(-196-)


책 제목만 보면 이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짚어낸다는 것은 힘들었다.'하지만 책 제목의 오른쪿 상단에 있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철학'을 보면 이 책의 힌트를 얻을 수 있고, 책의 주제, 책의 전체 개요를 잠시 상상할 수 있다.'평등' 은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지금은 당연히 누리고 있던 것들, 당연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과거에는 당연하지 않았다.당연하지 않다는 것은 때때로 평등하지 않다는 의미이며 ,우리는 그런 상황을 불공정하다고 생각한다.특히 남자중심적인 사고방식은 평등하지 않은 사회와 세계관의 근원이며,우리가 앞으로 미래를 만나게 될 때,어떻게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저자는 철학과 철학자를 전면에 내세워서 남자와 여자의 평등의 기존에 대해서 느껴보게 되었고, 우리 스스로 평등하기 위한 과정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도록 하고 있다.


에밀의 저자였던 스튜어트 밀은 우리가 생각했던 철학자가 아니었다.지극히 교육적인 철학자였던 스튜어트 밀에 대해서, 일상생활 속에서 모범적인 철학자로 생각하기 쉽다.그가 쓴 철학적인 사고가 그의 삶에 대해서 재단하게 되고, 본질을 흐리게 된다. 하지만 그의 관점으로 보자면, 스스로 철학적 사고는 철학적 사고이고, 삶은 삶이라 말할  것 같다.우리의 일상적인 생각과 해석은 스튜엍트 밀에게는 먹혀들지 않았고 철학과 삶은 분리되었다.


우리는 니체의 사상을 알고 있으며,이제 니체가 남겨놓은 불세출의 작품들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그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심취하게 되었고,그의 철학적인 사고 뿐만 아니라 그의 삶까지 흡수하게 된다.니체의 사상 바닥에 여성 혐오적인 생각이 뿌리깊게 드리워진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그의 전집을 가지고 있는 나 자신에게 니체의 사상이 가지는 의미 이전에 그의 삶과 성장과정을 이해할 때 그의 철학을 해석할 수 있다.


한나아렌트,그는 자기 스스로 철학자가 되길 바라지 않았다.그는 정치와 관련한 학자로 비추어지길 원하였지만 그의 사유는 본인 스스로 철학자가 될 수 밖에 없었다.특히 그의 저작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유대인 학살의 주동자 아이히만의 행동의 근원 밑바닥에 숨겨진 악의 근원에 대해서 ,대중들의 생각과 다른 생각을 표현하게 되었고,대중의 반발을 불러 오게 된다.공교롭게도 나치요원였던 하이데거와 연인관계였기 때문에,더욱더 그의 사상에 대한 질책과 비판은 누골적이었다.하지만 그가 죽은 뒤 그의 생가이 맞았다는 것을 ,세상의 시류와 부관한 자신의 보편적인 생각과 진리를 드러낸다는 것은 위험하다는 걸,한나아렌트의 삶을 통해서 엿보게 된다.


모든 것은 상대적이다.오늘 보았던 무언가에게서 느꼈던 즐거움과 재미가, 10년 뒤에도 똑같이 재미있을 거라고 보장할 수 없다. 과거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것은 적응하는 과정이지만, 현재에서 과거를 보는 것은 반추하는 과정으로서 낡은 가치과 그림을 느낄 수 있다.그 어떤 것이 현재일 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은 일들도 시간이 꽤 흘러 다시 보게 되면, 그 안에서 이질적인 것을 발견하게 되고,재미있었던 장면이 낡았다거나,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