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 생명현상과 연기 그리고 공
유선경.홍창성 지음 / 운주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이것이 없을 때 저것이 없고,
이것이 소멸하며 저것도 소멸한다. (-34-)


온전한 깨달음을 위해서는 진리 자체에 대한 깨달음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진리를 완전히 내면화해서 삶과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을 철저히 바꾸어야만 붓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7-)


환원이란 물체나 속성이 부분과 그들 각각이 이루고 있는 관계로 남김없이 분석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분해되어 없어진다고 볼 필요까지는 없다.그런데 분석을 통해 논리적으로 잘게 잘라진 부분을 계속 환원해 나가다 보면 결국 모든 물체는 소립자들과 그것들의 관계들로 환원될 것이다. (-83-)


우리가 세계를 색깔로 인식한다고 해서 세계에 색깔이 새로 생겨나 실재한다고 착각한다면 이느 우리가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것인데, 이덕은 불교의 연기관에 어긋나는 생각이다. 우리가 이 세계를 우리의 인식체계가 만드는 색깔이라는 틀을 통해 경험한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색깔이 창발되어 실재로 존재한다는 생각은 불교적이지 않고 또 철학적 논증으로도 견지될 수 없는 견해다. (-111-)


질병과 장애를 구분하고 지칭하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생체 내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질병이라고 정의하고, 이런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표현형인 신체적 구조나 기능의 변화를 기형이나 장애라고 이해한다.그러나 실제로는 질병과 장애를 뚜렷이 구분하기 어렵다. (-139-)


이렇게 우리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현재의 자연현상을 과거에 반복해서 일어났던 동일하거나 비슷한 자연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그런데 만약 자연에 법칙이 있다는 전제가 틀리거나 문제가 있다면, 생명현상이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발현된다는 근거가 없어지게 된다.그리고 각각의 동일한 무엇이 개개의 생명체 안에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발현된다는 근거도 없어지고 만다.그리하여 각각의 생명체 집단인 종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무색해지게 된다. (-191-)


다윈은 굵은 줄기에서 여러 가지가 뻗어 나가듯이 생명체의 조상인 종에서 새로운 종이 생겨난다고 생각했다.장미나무를 상상해 보자. 장미나무 가지들은 모두 밑동에서부터 뻗어난다.어느 가지는 다른 가지들보다 굵고 어느 가지는 다른 가지들보다 높이 뻗어나 자란다. 이런 가지 가운데 어느 가지가 다른 가지보다 고등하다고 판단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주어진 가지가 밑동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고, 이 가지가 다른 가지들과 함께 어떤 특정한 가지에서 분리되었는가 하는 사실 뿐이다. (-256-)


인간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본질은 삶과 죽음 즉 태어남과 소명되어짐을 반복하게 된다. 그럴 때 우리는 무에서 유로 바뀐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우리는 생명과학에 대해서 새로운 이론과 가치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여기서 저자는 서구의 기준으로 생명과학을 보지 않고, 동양의 불교에서 강조하는 연기와 공의 개념으로 생명과학을 분석하고 있었다.즉 우리가 마주하는 서구관에 입각한 생명과학은 그 본질에서 벗어나 있으며, 다윈의 진화론조차 진화가 아닌 변이의 개념으로 살펴 보고 있었다. 즉 생명은 태생과 소멸을 반복해 나가면서 그 안에서 새로운 가치들을 얻게 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모든 생명체는 변화 속에서 우연적인 사건과 필연적인 계획에 의해 ,어떤 조건과 부합하게 되면, 형질은 변화하게 되는 이유였다.즉 이 책은 바로 우리가 만들어낸 수많은 개념들은 왜 생겨났으며,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과학적 이해,우리 실생활에서 과학이란 어떤 의미인지 알 수가 있다'.


즉 인간은 수많은 개념들은 습관적으로, 때로는 집착과 인간이 만든 기준에 따라 분류해 나가고 있었다.그런데 인간의 기준으로 볼 때 상식처럼 보이지만, 자연의 기준으로 보면 지극히 비상식적이며, 깨달음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되는 이유가 된다.. 또한 생명과학, 지구에 생명이 탄생될 수 있었던 이유를 불교의 연기론에 입각해 본다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즉 수많은 조건과 인과관계의 의해 지구라는 특정한 공간에서 생명체는 나타나게 되었고,그 생명체가 서로 생성과 발생,노화와 소멸과정을 거듭하면서, 생명체는 다양해졌다.또한 인간의 노화는 불교의 연기론에 입각하면 지극히 당연한 것이며, 지구의 생명체가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또한 세포가 생성과 소멸을 할 수 있었기에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하나의 생명체가 만들어지고 각각의 기관이 분리되어 새로운 형태의 온전한 존재가 만들어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